주아 이용 우량씨 마늘 생산
작성자
김 대 규
작성일
2001-07-09 00:00:24
조회수
5,058

1.주아의 특성

주아는 형태학적으로 인편과 똑같은 구조이다.

조직이 치밀하고 증체율이 높다.(20∼70배)

1총포당 8∼30개의 주아가 있어 증식율이 인편보다 배정도 빠르다.

주아는 식물체 선단(공중)에 착생하기 때문에 각종 병및바이러스 감염이 인편보다 훨씬 낫다.

2.주아재배 목적

마늘 부산물 이용 우량종구 자가생산으로 경영비 절감(60%)

지상부의 영양체 이용 바이러스가 적은 우량종구 확보

단위 면적당 수량이 많아지고 상품성이 높은 마늘 생산

인편분리 노력절감 및 종구 생산포 별도 관리 가능

3.주아재배 효과

<종구비 절감> <수량성 증대>

4. 주요 재배 기술

가. 1년차재배 : 주아재배 → 파종 → 통마늘 생산

1) 일반주아 재배방법(점파)

주아채취 : 생육이 좋고 병해충 피해가 없는 건전포기

2) 총포제 파종방법

일반주아재배시 작업상의 번거려움을 생력화할 수 있는 방법

주아가 들어 있는 총포를 분리 파쇄하지 않고 점파한다.

채취 및 보관등은 일반주아재배에 준한다.

3) 모아심기 파종방법

총포제 파종밥법과 점파 및 산파·조파재배의 단점을 보완 생력화한 방법

주아채취, 보관, 침종, 소독등은 일반주아 파종방법에 준함

4) 기타 파종방법

산파, 줄뿌림등이 있으나 유인작업의 번거러움으로 관수시설이 잘 되어 있어 봄에 비닐을 제거할 수 있는 곳은 효과적이나 그렇지 않으면 유인작업 노동력이 많이든다.

나. 2년차재배 : 통마늘 파종 → 정상마늘 수확

선별 및 보관 : 통마늘을 대(5g이상), 중(3∼5g), 소(3g이하)로 구분하여 망사자루에 넣어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한다. 당년에 인편 분화된 마늘도 종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 보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