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의발자취

  • 감귤의 원생적 분포지 : 인도동부와 중국지역
  • 467년(백제 문주왕 2년) : 탐라 특산물로 진상
  • 1392년(조선 태조 원년) : 3개읍(제주, 대정, 정의)에 관영 과원 설치
  • 1911년 최조 온주밀감원 조성(서귀 복자 수도원) -> 제주감귤 경제 재배의 시초

 

 

제주감귤품종의 변천

연헉 입니다.
1910년대 당유자, 진귤, 병귤, 청귤 등 22품종
진상용 감귤관에서 관리(제주목, 정의현, 대정현)
1910~1950년대 온주밀감 최초 도입 및 재배개시 : 미장온주 일본에서 도입(엄탁가신부 1911년)
일본중심 품종도입 : 미장온주, 임온주, 궁천조생 등
1960년대 장려품종 도입
: 궁천조생, 삼보조생, 흥진조생, 향산온주, 청도온주 등
1970년대 우량품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 : 극조생온주, 궁본조생 등
40여개 품종이 재배되는 다품종 시대
1980~1990년대 고품질 우량품종 재배, 하우스감귤 재배
만감류 비율이 높아짐 : 한라봉, 청견, 진지향
2000년대 품종선택의 다양화, 기호도의 다양화에 알맞은 품종시대
농산물 안전성 선호, 친환경 재배 확대
2010년대 품종선택의 다양화, 기호도의 다양화에 알맞은 품종시대
FTA 대응 감귤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