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등멸구의 생태와 방제 작성자 엄기백 등록일 2001-08-17 00:00:14 조회수 3,272 |
---|
첨부 #1 흰등멸구의 생태와 방제.pdf |
1. 생태 ○ 논에서 발생 특징 흰등멸구는 벼멸구와 같은 시기에 비래하나 비래량은 벼멸구의 비해 10배 이상 많다. 비래후 1세대 유충의 밀도가 가장 높고 이앙이 빠른 곳에서는 초기 비래시 밀도가 높으나 8월 중순경 출수 전후하여 밀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만식답에서도 8월 상.중순에 밀도가 가장 높으나 그 이후에는 벼의 영양상태가 충발육에 부적합하고 유충기의 높은 밀도로 인해 장시형이 되는 비율이 높아지는 등의 원인으로 분산 이동하게 되어 벼멸구에서와 같이 9월까지 밀도가 높은 경우는 드물다. 장시형 성충이 선호하는 벼생육단계의 범위가 좁아 특정 생육단계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질소성분이 많은 벼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흰등멸구는 벼멸구보다 비래량이 많으나 벼멸구보다 피해가 적게 느껴지는 것은 벼멸구와 같이 집중하여 밀도를 형성하지 않으며 논전체에 골고루 분산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비래후 1세대 유충의 밀도가 가장 높고, 그 후 성충이 되면서 분산하여 전체적으로 급격히 밀도가 높아지지는 않는다. 벼멸구 비래시 매우 낮은 밀도(주당 0.01마리)에서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나 흰등멸구는 비래후 1세대 밀도가 높으며 벼가 출수하게되면 전체적으로 밀도가 낮아져 후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흰등멸구는 비래시기에 벼가 아직 어리면 집중적으로 날아들어와 피해를 받는다. 보통 흰등멸구 피해가 나타나는 논은 늦게 이앙한 논이다. 특히 2모작으로 논에 밭작물을 심은 후 늦게 이앙하면 흰등멸구의 피해를 받게 된다. ○ 피해 양상 흰등멸구의 피해는 비래성충이 알을 낳아 엽초를 변색시키고, 유충 가해로 하엽이 변색되며 심하면 초장이 감소하는 등으로 초기생육을 부진하게 하며, 상위엽까지 갈색으로 변하고 출수가 지연되기도 한다. 벼멸구와는 달리 포장내에서 분포가 균일하기 때문에 피해는 포장전체에 균일하게 나타난다. ○ 발육기간 25℃항온에서 평균 난기간은 7.6일, 유충기간은 13일, 성충수명은 15.6일, 산란수 133개 정도이다. 2. 예찰 비래량이 많으며 분포도 벼멸구에 비하면 비교적 균일하다. 포장에서 밀도는 비래후 1세대인 7월 하순 - 8월 상순에 최고로 된다. 다발생한 경우 벼의 초기생육을 지연시키고 이삭의 형성에 영향을 주어 감수를 일으키며 출수를 지연시킨다. 따라서 성충의 비래상황(시기, 회수, 량)을 파악하고 방제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발생예측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충의 비래상황은 예찰등, 예찰답 등에서 조사하여 파악하며 순회조사도 한다. 성충의 비래는 장마전선의 활동과 관련이 있으므로 저기압의 움직임에 유의하여 예찰 등에서 비래상황을 조사하며 조사지역 논에서의 발생실태를 파악한다. 성충비래는 남서쪽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앙직후 비래성충의 밀도가 2마리를 넘으며 산란에 의한 피해도 늘어 생육이 지연된다. 7월 하순 주당 30마리 정도이면 초장이 짧아지고 출수가 늦어지므로 이보다 낮은 주당 10마리정도가 방제수준이 된다. 포장내에서 분포가 균일하므로 조사주수는 10주 정도 한다. 3. 방제 흰등멸구는 비래가 적을 경우나 일찍 이앙하여 비래시기에 벼가 어느정도 자라있으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늦게 이앙한 곳에서는 비래시기에 성충이 집중 산란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으므로 비래가 많을 경우는 비래 1주일후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