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 단경기 담수처리시 보릿짚 시용에 의한 시들음병 방제 작성자 신 동 범 등록일 2001-08-25 00:00:08 조회수 5,736 |
---|
첨부 #1 시들음병 방제.pdf |
(1) 발병생태 시들음병은 Fusarium oxysporum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채소류, 화훼류,다년생 초본성 관상식물등 수많은 작물에 병을 일으킨다. 감염된 식물체는 일반적으로 잎이 팽압을 상실하여 시들고 황화되며 고사된다. 이 병원균은 토양에 감염된 식물잔재에서 균사체와 포자(후막포자)로서 생존하는 토양서식균으로 물과 오염된 장비를 통해 근거리로 전염되고, 감염된 이식주 또는 이식주와 함께 옮겨진 토양에 의하여 먼거리 까지 전반된다. 그리고 일단 어떤 지역에 오염되면 무기한으로 남게된다. 오염된 토양에서 병원균은 직접 뿌리를 침입하거나 상처 또는 측근의 형성부위를 통해 뿌리로 감염한다. 감염된 균사체는 식물체 도관을 통해 이동하고 감염하여 증식하게 된다. 도관의 방해와 분해는 식물체의 수분균형의 붕괴의 원인이된다. 즉 잎에서 이용가능한 물의 총량이 그들의 기능을 위해 필요로하는 최소량 이하일때 시들고 고사된다. 고사된 조직에서 포자를 형성하여 다른 곳으로 전반되며, 때로는 종자에도 감염한다. 수박의 경우 생육전기간을 통해 발생하게되는데 유묘기때는 떡잎의 끝부터 시들기 시작하여 본잎에 이르러 포기전체가 시든다. 일반적으로 줄기기 어느정도 신장한 후 제1번과가 착과하면서 많이 발생하며 착과한채로 포기전체가 시든다. 이 병이 진행되고 있는 부분은 세로로 갈라지고 붉은색을 띤 수지상의 물질을 분비하는데, 이러한 증상없이 급격히 시들어 고사하는 경우도 있다. 딸기 시들음병은 새로운 잎이 전개되었을때 3매의 잎중에 1∼2매가 황화하고 그렇지 않은 잎보다 작은 기형을 나타내며, 발병포기는 생육이 불량하고 잎의 광택이 없어지며 갈변되고 시들면서 고사한다 (2) 방제대책 시들음병은 연작에 따른 병원균 밀도증가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발병원인에 따른 방제대책으로 윤작이 좋으나, 장기간의 윤작이 요구된다. 저항성 대목의 이용과 태양열 소독에 의해서 발병을 줄일수 있다. 또한 석회 등을 시비하여 토성을 중화시켜 병원균의 활동을 억제할 필요가 있고, 재배포장은 과습과 과건이 되지않도록하고 유기물을 많이넣어 토양의 물리성을 개량하여 강건한 근군이 형성되도록 한다. 연작장해 및 토양병해 발생억제 목적으로 하계휴경기에 담수처리를 수행하고 있는데, 담수처리하면 시들음병균의 밀도 감소효과와 발병억제효과가 있다. 담수처리시 저온에서 보다 고온조건에서 균밀도 감소효과 더높고 후막포자의 생존력 저하에도 더높은 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하계에 담수하면 균밀도 및 발병을 억제시키는데 특히 균밀도는 현저히 감소되며, 수도작의 회수를 늘리면 균밀도가 저하되고 발병도 경감된다. 그러나 이러한 담수효과의 결과는 일정하지 않은며 이것은 산소공급량의 차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담수깊이를 높임으로서 혐기화를 증대시킬수 있지만 담수관리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러한 담수효과는 단독으로서는 불충분한데 토양중의 산소소비, 미생물 활성을 높이기 위해 유기물 시용, 보온 등을 조합함으로서 발병억제효과 및 균밀도억제효과를 증대시킬수 있다. 시설재배지에서 하계 단경기 담수처리시 보릿짚을 10a당 600kg을 담수전에 처리하면 보릿짚을 처리하지 않은채 담수처리한 것보다 발병 및 균밀도 억제효과를 높일수 있으며(표 1), 담수량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