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 무논 골뿌림 직파재배 기술
- 작성자
- 김병호
- 작성일
- 2001-08-25 00:00:19
- 조회수
- 5,514
1.재배 적지
○표고(중북부 100m, 남부 200m)이하 지역이며 경사도 7%이하지역 2모작, 한해상습지, 염농도 0.25% 이상인 간척지는 제외
2.토성:식질 토양의 배수 약간 불량 및 불량지, 미사 식질 양질의 배수 약간 불 및 불량지
3.적응품종
○ 저온발아성, 초기 신장성이 좋은 단간 내도복 양질 품종
○ 조생종:소백,오대,운봉,금오,신운봉벼
○ 중생종:화성,화영,간척벼
○ 중만생종:동진,탐진,계화,대야,영산,금남,일미,화남,동안,대산벼
4.파종시기
○ 조생종: 5.1∼6.5, 중생종: 5.1∼5.30, 중만생종: 5.1∼5.25
○ 일평균기온이 11∼12℃ 이상이 되면 파종 가능하나 만파 지양하고 파종적기준수
5.파종량:3∼5kg/10a(적정입모수 : 80∼120개/㎡)
※ ㎡당 60개 이하시 재파종 검토(단, 균일시는 제외)
6.본논경운 정지 및 논굳히기
○ 가을갈이 또는 봄갈이 실시 : 석회, 규산질 비료 시용으로 볏짚 부숙 촉진
○ 논고르기 : 관내 또는 경운전에 높은 곳에서 흙을 골솎음하여 낮은 곳으로 옮김.
◎ 지나친 심경은 피하고 12cm정도로 얕게 경운하거나 로타리만 실시
◎ 지나친 논고르기 작업(로타리)은 입모불량함.
-사질양토 : 써레질후 배수 - 논굳힘(1∼2일) - 일시관수 - 파종
-점질양토 : 써레질 3∼4일후 배수 - 논굳힘(5∼6일) - 일시관수 - 파종
○ 건답상태 로타리 - 2∼3일간 담수 - 2∼3일간 낙수 - 파종
◎ 논굳히기 미흡한 논은 논굳힘 정도에 따라 물대는 시기 조절
7.파종 방법
● 까락제거,소금물가리기,종자소독 실시
○ 싹틔우기:1∼2mm정도(싹이 너무 길면 모썩음병 발생증가)
- 싹틔우는 기계이용시 반드시 2일이상 침종후 실시로 입모율 향상
● 파종골 깊이 : 3∼4cm 깊이로 파종깊이 조절 파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