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특용작물

상세보기
사과 부산물을 이용한 병재배 버섯 배지개발
작성자 조 우 식 등록일 2001-07-24 00:00:06 조회수 3,861
첨부 #1 사과부산물을 이용.pdf

1. 재배 기술

가. 배지 재료의 특성

기존의 병버섯 재배용 배지는 톱밥과 미강을 혼합 사용하였으나, 본 시험은 톱밥 대신 사과가공부산물을 혼합 사용하였다. 건조상태로 산출되는 사과가공부산물은 입자 크기가 2∼5mm로 팽이버섯 배지 재료로 취급하는데 불편이 없었고, 버섯배지 제조에도 편리하였다. T-C는 사과가공부산물이 44.6%로 톱밥 32.2%, 미강 38.9%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T-N은 미강이 2.24%로 톱밥 0.58%, 사과 가공 부산물 0.54% 보다 높게 나타났다.

나. 배지 조제

사과가공부산물을 미송 톱밥에 부피비율(V/V)로 각각 0, 5, 10, 15, 20, 50, 80%씩 혼합시킨 다음 이들 재료를 기준하여 미강을 20%(V/V)씩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배지의 수분 함량을 65%로 조절한 다음 자동입병기를 사용하여 내열성 P.P병에 530∼550g씩 충진하였다.

다. 생육 및 수량

사과가공부산물을 톱밥, 미강에 혼합한 배지를 시험관에 주입하여 20℃에서 15일간 팽이버섯을 배양하여 균사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사과가공부산물 0∼20% 첨가시에는 54∼59mm로 비슷한 균사생장을 보였으나, 사과가공부산물 50%, 80% 첨가시에는 34mm, 25mm로 균사 생장이 불량하였다. 이 결과는 사과가공 부산물이 산성을 나타내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장에 불리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초발이 소요일수는 사과가공부산물 0∼20% 첨가시 처리별로 10∼12일로 비슷하였다.

o. 처리별 배양상태

혼합처리별 자실체의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사과가공부산물을 5∼20%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의 118g보다 2∼9%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15% 처리구에서 병당 평균수량이 128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과가공부산물 50%, 80% 처리구는 균사체 배양기간이 69일 이상되는 관계로 수량측정에서 제외하였다.

o. 처리별 자실체 생육상태

국민 소득의 증가와 식생활의 개선으로 버섯의 소비량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앞으로 병재배 버섯 자동화 시설을 이용하여 전과정에 대한 생력화 기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보급하면 전업농 육성과 농가 소득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각종 병버섯 재배의 기본이 되는 배지재료는 재배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앞으로 소요량이 늘어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배지재료인 사과가공부산물은 쥬스제조시 산출되며 년간 산출량은 3천톤에 이른다.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살려서 각종 재료간의 혼합을 조절하게 되면 우량한 배지재료로서 손색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