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특용작물

상세보기
건비지를 이용한 느타리 상자재배 기술
작성자 이 흥 수 등록일 2001-07-27 00:00:11 조회수 4,495
첨부 #1 건비지를 이용.pdf

1. 재료 및 방법

가. 접종원으로 원형느타리를 사용하였고 면실박을 기본배지로 하여 각 처리에 따른 첨가제 혼합수준은 표참조.생비지를 열풍건조기로 70℃에서 10시간 건조한 후 제분용동력분쇄기로 분말화시켜 건비지 상태로 사용한다.

나. 재배방법은 면실박을 이용하여 솜털기 및 수분조절, 야외발효, 상자담기(첨가제 혼합), 수분조절, 살균 및 후발효, 종균접종, 균사배양, 초발이작업, 생육 및 수확, 폐상의 작업과정으로 관행적인 상자재배법을 사용하였다.

다. 상자규격 : W 38.5 × L 38.5 × H 9.0cm

2. 시험성적

첨가제 조합수준에 따른 균사활착정도는 각 처리에서 모두 양호하였으며 배양완성일수는 면실박단용처리구에서 가장 짧았고 미강 첨가구에서 다소 길었음.

초발이소요일수는 미강 20%첨가구에서 가장 빨랐으며 면실박단용처리구에서는 배양완성일수가 가장 짧았으나 초발이 소요일수는 다소 늦어지는 경향이었음.

미강과 건비지 20% 첨가구에서 유효경수가 많았으며 면실박 단용처리구에서는 유효경수가 적 었음.

대길이, 갓직경, 품질에 있어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음.

첨가제 조합수준에 따른 자실체수량은 면실박단용처리나 미강, 건비지 혼합처리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미강20%, 건비지 20% 단용첨가구에서 수량이 높았으며, 특히 건비지 20%를 단용첨가한 경우는 면실박 단용재배에 비해 유의하게 수량이 높았음.

주기별 수확소요일수의 경우 미강 20%첨가구에서 가장 짧았으며, 미강이나 건비지를 첨가한 배지에 비해 면실박단용재배구에서는 주기별 수확소요일수가 길어지는 경향이었음.

수확주기는 면실박 단용재배의 경우 4주기가 형성되었고, 나머지 첨가제 처리구에서는 5주기가 형성되었으며 수확주기별 수량의 경우 1주기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이고 그 이후 주기에서는 점차 수량이 감소하였음.

3. 맺는말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