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특용작물

상세보기
댐하류 저수온 이용 느타리버섯 특수 재배기술
작성자 이 영 권 등록일 2001-07-27 00:00:09 조회수 3,503
첨부 #1 댐하류 저수온이용.pdf

1. 시설개량기술 개발

가. 재배사 시설개량 기술

1) 골조재질 및 규격 : 아연도금 철재 파이프
- 표준 ø25×1.5T → ø33.5×2.1T
2) 중앙통로 확대 : 표준 1.2m → 2.2m
3) 환기창 개량 : 표준 60×90㎝ → 70×160㎝
4) 이동작업대 도입 : 3개(중앙통로 1, 양쪽통로 2)

나. 수막시설 개량기술

1) 천정양쪽에 별도구조의 수막설치

다. 관류, 분무시설 개량기술

1) 베드밑 관류 : 베드당 엑셀파이프 4줄
2) 창틀밑 〃 : 창틀밑 〃 2〃
3) 지붕위 스프링쿨러 시설 : 6개(3m당 1개)
4) 안개형 분무 시스템설치 : 3줄(총길이 60m)

2. 재배기술개발

여름철 고온기때 일반 하천수의 수온은 일반적으로 24∼25℃이고, 15∼20m 깊이의 지하수는 16℃로써 이들 수온으로는 느타리버섯 재배적 온을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저수온(13∼14℃)의 풍부하고 깨끗한 댐하류 방류수를 이용키로 하였다.
댐하류 저수온을 물을 양수하여 수막과 관류 분무시설을 작동시킨후 온도를 비교해 보았더니 4∼5℃가 낮아져 재배적온 유지가 가능하였다.
살균온도 도달시간은 온도를 70℃에 설정한 다음 보일러를 가동하였는데 25시간만에 도달되었다. 바로 살균온도인 60℃에다 맞추고 8시간 살균한 다음 후발효는 온도설정을 55℃로하여 149(6.2일) 시간동안 생발효를 시킨후 창문등을 열어 온도낮추기를하고 다음날 종균접종에 착수하였다.
종균접종 4일후의 균사활착 상태는 대단히 양호한 편이였으며 이 실험은 온도와 기간이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되어있어 실증시험해 보았다.
댐하류 저수온이용구와 보통재배구로 구분하여 실증시험 재배를한 결과를 비교분석해보니 생산량과 조수입 등에서 47%와 120%씩 증대되고 있었다.
생산단가에서 광열비가 적게드는 것이 장점이겠으며,여름철 고온기의 단경기때 생산,출하할 수가 있어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계기가 되리라 생각하며 특히 청정느타리버섯 생산으로 국민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