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특용작물

상세보기
느타리볏짚재배
작성자 박 정 식 등록일 2001-07-27 00:00:05 조회수 4,263
첨부 #1 느타리 볏짚재배.pdf

1.재배사유형 및 구조

가. 재배사유형

영구건물과 비닐하우스식 간이재배사로 구분되며 우리나라는 간이재배사 가 많은 편이다.

나.재배사구조

재배사의 건축면적은 30.4평 (균상면적으로는 60-64평), 재배사바닥은 콘크리트로포장, 그리고 균상판은 굵은 철망으로 장타원형(4×9㎝)이 되게 설치하면 병발생이 적고 재배하기가 편리하다

2. 느타리버섯의 생육조건

균사생장시 최적온도는 25-27℃, 볏짚배지의 수분함량은 65-70%가 좋고, 버섯발생 온도는 품종에따라 차이가 있으나 실내습도는 버섯발이시 90%이상, 수확시에는 80-85%가 알맞다.

3. 배지제조기술

가. 볏짚 다발

제조

단묶기 작업을 할 때 단의 크기는 직경이 20㎝정도가 알맞으나 이보다 직경을 크게 묶어(30-40㎝)서 재배할 수도 있다.

나. 볏짚 수분조절

묶은볏짚단을 토막치기한 다음 균상에 입상한후 수분조절하는 방법과 묶은 볏짚 단을 침수조에 넣어 수분조절 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볏짚의 수분 량은 65- 70% 가 되도록해야한다.

다. 입상

수분조절이 끝난 볏짚단을 균상판위에 쌓는 것들 입상이라고 하며 이때 배지량은 건물 중으로 평당 60-80㎏이 적당하다.

라. 살균 및 후발효

살균온도는 60℃에서 6-8시간, 후발효는 50-55℃에서 2-3일간 발효시킨다.

마. 종균접종

살균이 끝난후 볏짚토막의 온도가 봄배재의 경우 25℃, 가을재배의 경우 23℃이하에 서 실시해야한다. 종균접종량은 평당 10병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균사활착이 빠르다. 종균재식이 완료되면 균사생장을 시키기위해 배지의 품온을 23-25℃로 유지 해주어 야 한다.

4. 버섯발생 및 수확관리

버섯을 발생시키기 위해 온도, 습도, 환기, 광등이 알맞아야 하는데 이때 전처리 과정 으로 비닐을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를 14-17℃ 로내리고 빛의 밝기가 80-120룩스가 되게 2-3일 한다. 비닐제거후에는 깨끗한 지하수나 수돗물을 1일 1-3회 정도 관수하여 균상표면이 마르지 않게 관리한다. 버섯이 발생시에는 실내습도를 90%이상 유지하고, 버섯이 생육하면서 습도를 서서히 낮추어 수확시에는 80-85 %정도로 유지한다. 버섯이 생육하는 동안에는 온습도 조절은 물론 환기량 조절에도 세심한 주위를 해야 한다. 버섯을 수확한 다음 균상에 죽어 있는 버섯 잔여물을 깨끗이 제거하여 병 발생을 방 지 해야한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