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특용작물

상세보기
애느타리 재배시 팽이폐상 톱밥 재활용 효과
작성자 이 현 욱 등록일 2001-07-28 00:00:10 조회수 3,318
첨부 #1 팽이 폐상톱밥 재활용효과.pdf

1. 배지재료의 준비

○ 톱 밥 : 미송톱밥, 팽이폐상톱밥
○ 첨가제 : 미강(쌀겨), 건비지

○ 접종 전에 비해 수확 후 EC가 다소 높아짐
○ 수확 후 P2O5, Na, SO4, Fe, Zn 등의 함량이 매우 높아짐.
○ 그외 성분들은 유사하거나 다소 감소됨.

2. 공 시 품 종 : 애느타리 (Pleurotus ostreatus ASTI 2042)

3. 처 리 내 용

○ 재 배 방 법 : 850cc PP병 톱밥표준재배법
- 배 양 조 건 : 온도 (18 0.5 ℃), 습도 (67 2 %), CO2농도 (800 50 ppm)
- 균긁기 시기 : 접종 26일 후 (단, 건비지 첨가구는 접종 20일 후)
- 생 육 조 건 : 조도 70 15 Lux (발이유기 시작부터 수확시까지)
발 이 기 : 온도 (13 0.5 ℃), 습도 (92 2 %), CO2농도 (1,000 50 ppm)
· 생 육 기 : 온도 (13 0.5 ℃), 습도 (87 2 %), CO2농도 (1,500 50 ppm)

4. 시험성적

○ 폐상톱밥 사용시 미송톱밥에 비해 배양기간이 2일정도 지연되고 균사밀도도 유사하거나 다소 떨어짐.
○ 건비지를 사용한 경우 미강 단용첨가구에 비해 건비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균사생장력은 왕성한 것으로 나타남.

○ 폐상톱밥에 첨가제를 20%수준으로 단용 또는 혼용첨가 했을때 미송톱밥에 미강을 20% 첨가한 관행배지조성에 비해 자실체의 유효경수가 매우 적어지고 수량도 다소 줄었음.
○ 미송톱밥에 미강을 20% 첨가한 처리에 비해 폐상톱밥에 30%의 첨가제를 단용 또는 혼용첨가한 경우 유효경수, 대길이, 갓직경 등 자실체의 분화형태는 유사하였으나 수량과 품질이 다소 향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미송톱밥 팽이 폐상톱밥을 혼합한 톱밥에 미강 또는 건비지를 20%수준으로 단용첨가한 처리의 경우 수확소요일수는 2일정도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자실체의 유효경수와 수량, 품질 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음.

5. 시험결과 요약

팽이 폐상톱밥으로 애느타리를 재배할 경우 미강 또는 건비지를 20% 수준으로 단용 또는 혼용첨가했을 때 미송톱밥에 미강을 20% 단용첨가한 처리에 비해 자실체형성력과 수량, 품질등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30% 단용 또는 혼용첨가했을 때 전체적인 향상효과가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폐상톱밥에 미강 10%와 건비지 20%를 혼용첨가한 처리에서 수확소요일수가 3일정도 단축되고 병당수량도 76.1g으로 11.4% 증수되었으며 품질도 7.7로써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음.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