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경운 재배기술 작성자 김장용 등록일 2001-08-14 00:00:10 조회수 3,147 |
---|
첨부 #1 무경운 재배기술.pdf |
1. 무경운답의 관리방법 논 무경운체계에서 토양관리의 핵심은 무경운과 그 토양에서 생산된 짚을 전량 토양에 환원시키고 적절한 토양수분을 유지시켜 미생물에 의한 짚의 부식을 조장시키는 일이다. 벼를 콤바인으로 수확할 때 볏짚을 10㎝ 길이로 절단하여 지표면에 그대로 방치한 채로 월동케 하고, 월동기간 중 적설이나 강우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그 짚이 적당한 수분과 일정한 온도하에서 활동하는 자연 미생물에 의하여 부식이 촉진될 수 있게 한다. 작물 재배기간 중 무경운으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월동직후에 논두렁을 비닐로 피복하며, 자연 강우가 부족할때에는 5월상순부터 인공관개를 실시하여 지면을 담수상태로 유지한다. 둑새풀을 포함한 월동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4월하순경에 비선택성 제초제를 논 전면에 살포한다. 2. 무경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무경운체계로 관리된 논 토양의 토양 수분함량은 무경운이 경운에 비하여, 심토보다는 표토에서 높았고, 무경운체계로 관리된 기간이 길수록 표토, 심토 다같이 토양수분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무경운 토양의 가비중은 경운 토양의 그것보다 약간 낮았으며, 표토가 심토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토양공극은 표토, 심토 다같이 무경운 논에서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벼의 뿌리, 토양동물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특수공극이 증가하고 단립구조가 파괴되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무경운 논에서 표토의 pH는 경운토양의 그것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심토의 pH는 무경운 1년차 논이 무경운 4년차 및 경운 논의 그것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무경운 기간이 길어질수록 표토에 유기물 함량이 증가되는 것은 수확시 볏짚전량이 토양에 환원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표토의 양이온 치환용량은 무경운 4년차 논에서 높았고 무경운 1년차와 경운의 양이온 치환용량은 비슷하였으나, 심토의 그것은 무경운 4년차 논에서 가장 낮고 무경운 1년차, 경운 순으로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무경운으로 표토에 유기물이 집적되고, 경운으로 심토에는 점토가 각각 집적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인산은 시비와 동시에 불용성 형태로 변화되기 쉬우므로 하층으로의 이동이 타성분에 비하여 낮은 원소로 알려져 있다. 무경운 체계에서 심토의 유효인산이 크게 떨어진 것은 인산이 집적된 표층 토양이 하층의 그것과 혼합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경작지의 유효인산함량은 비료로 시용된 인산과 토양의 pH 및 양이온의 종류와 함량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토양에서는 철분과 결합된 인산이 가장 많으므로서 유효 인산함량은 논 토양의 산화환원상태에 따라 크게 변화될 것이다. 무경운 토양의 가용성은 규산함량은 작토층에서는 경운 토양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심토에서는 무경운 토양의 규산함량이 경운토양의 그것에 비하여 크게 떨어졌다. 이는 경운 논이 무경운에 비하여 점토가 하층으로 많이 이동되기 때문이다. 무경운 토양의 염기함량(K, Ca, Mg)은 표토에서는 무경운 경과연수가 길수록 그 집적이 현저하였으나, 심토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특히 칼리의 표토집적은 칼슘, 마그네슘에 비하여 더욱 뚜렷하였으나, 심토에서는 칼리, 칼슘, 마그네슘 다 같이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이는 유기물과 화학비료가 표토에 계속 시용되기 때문에 유기물과 유효인산을 비롯한 칼리, 칼슘, 마그네슘등이 표토에 집적된 것으로 보여진다. 3. 무경운 직파재배시 벼 품종 및 파종량 무경운답은 경운답과 달리 본답에 둑새풀등 월동잡초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끝동매미충등 월동해충이 이곳을 기주로 이용하여 월동한 후 벼이앙 혹은 직파시 서식지를 벼로옮겨 오갈병등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사전에 월동해충방제에 철저를 기해야하나 오갈병에 강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리고 무경운답과 경운답의 공통 사항인 저온발아성, 고온발아성, 초기신장성,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이어야 될 것이다. 파종량은 경운답의 4kg/10a보다 파종량을 다소 늘려 무경운답에서 6kg/10a정도가 적당하다. 4. 잡초방제 무경운답에서는 경운과 로타리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전년도 수확 이후 발생된 둑새풀등 잡초가 직파(혹은 이앙)때 까지 그대로 자라고 있다. 따라서 파종이나 이앙작업 전에 이미 발생된 잡초를 방제하여야 된다. 둑새풀 방제를 위한 적기는 발생된 잡초가 볏짚위로 자란후부터 둑새풀이 목질화 되어 이앙작업에 어려움을 더하지 않는 중간 시기라고 보여진다. 남부평야지를 기준으로하여 볼 때 방제적기는 4월 중하순 경으로 볼 수 있다. 이시기 이후 벼를 직파(혹은 이앙)할 때 까지의 기간이 논잡초가 발생될 수 있는 시기로는 충분한 기간이기 때문에 방제에 철저를 기하여야 된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는 직파(혹은 이앙)후 15일경 중후기 제초제를 살포할 때 양호한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금후 직파(혹은 이앙)전과 후의 잡초방제체계를 연계하여 검토되어야할 것으로 본다. 5. 시비방법 무경운답에서는 수확시 볏짚을 시용하기 때문에 표토의 유기물이 경운답의 그 것에 비하여 대단히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계속적으로 표층시비가 되기 때문에 표토에 인산성분이 집적되므로 경운답과는 시비법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장기연용 무경운답에서의 질소시비량은 7㎏/10a정도이며 인산질 비료는 가능한 감비하여야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