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식량작물

상세보기
벼 수발아 원인 및 피해 대책
작성자 이 문 희 등록일 2001-08-24 00:00:25 조회수 4,024
첨부 #1 벼 수발아 원인.pdf

1. 벼 수발아 발생원인

벼 종자는 출수후 25∼35일이 지나고 종자 중량의 25% 이상의 수분과 호흡에 필요한 산소와 생리대사에 저해를 주지 않는 25℃ 이상의 온도상태를 유지해 주면 발아를 하게된다. 그러나 품종의 특성에 따라서 수발아가 잘되는 품종이 있는 반면 잘안되는 품종도 있다. 이는 품종의 휴면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수발아의 양상을 크게 몇가지로 구분하여 보면 첫째는 휴면성이 없거나 약한 조생종을 평야지에서 재배할경우 출수후 8월말이나 9월초에 장마로 인하여 휴면물질이 용탈되고 수분이 많고 온도가 높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와 둘째로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하여 침관수 또는 도복이 되었을때 장기간 적절한 대응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하는 수발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벼 수발아가 발생되는 원인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 품종의 조생화, 조식화로 고온기에 출수됨.
② 휴면성이 약한 일반형 품종의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음.
③ 잦은 태풍과 집중호우로 침관수, 도복에 의한 수발아 발생 등으로 볼 수 있다.

2. 수발아성의 품종간 차이

① 일반형 품종은 휴면성이 약해서 황숙기 이후에 고온 다습조건에서 수발아가 발생.
② 통일형 품종은 휴면기간이 길어서 수발아가 되지 않음.

3. 수발아 피해 정도

표 2에서 벼 수발아 발생정도에 따른 수량피해 정도를 보면 수발아 발생비율의 반정도의 비율로 피해를 주고 있다.

4. 벼 수발아 경감대책

벼재배에서 수발아 발생을 억제시켜 수량감소를 막고 양질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요구된다.

황숙기 이후에는 적기에 빨리 수확하여야 한다.
지나친 다비, 밀식을 지양하여 도복유발을 최대한으로 억제시켜야 한다.
중남부 평야지에서는 일반형 조생종품종의 재배를 지양하여 고온기에 등숙시키지 말것
벼 수확시 갈아말리기를 금지하고 소속입건 또는 기계수확을 해야 한다.
도복된 벼는 빨리 묶어 세운다.
침관수된 논은 가능한 빨리 퇴수하여 수발아 발생을 최대로 억제해야 한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