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생육단계별 한발 피해 작성자 이 문 희 등록일 2001-08-24 00:00:20 조회수 4,745 |
---|
첨부 #1 벼 생육단계별 한발 피해.pdf |
1. 한발의 종류 및 발생빈도 우리나라의 벼 농사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한발 피해의 유형은 한발이 오는 시기와 정도에 따라서 표 1에서와 같이 크게 구분하여 ① 모내기 지연형, ② 생육장해형, ③ 혼합형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그 발생 빈도를 보면 모내기 지연형은 3년에 1회, 생육장해형은 7년에 1회, 혼합형은 10년중 1회씩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는 모내기 지연형 한발은 수리시설이 잘 되어있지 않았던 과거에는 치명적인 피해를 주었으나 최근에는 수리시설의 확보에 힘입어 극한 지대를 제외한 평야지에는 큰 피해가 없다. 2. 생육단계별 피해 증상 한발의 증상 . 한발1단계 : 낮에는 엽신이 위조하나 밤에는 회복됨 . 한발2단계 : 엽신은 위조되고 상위엽부터 풍건색으로 변화 되고, 잎끝이 고사되고, 토양은 백건 균열됨 모의 한발피해 정도는 육묘법에 따라서 보온밭모, 보온절충모, 물못자리 모의 순으로 강함 활착이 완료된 분얼기에는 어느 정도의 한발에 견디며 관수하면 쉽게 회복됨 생식생장기에는 생리적으로 물이 많이 필요한 시기이므로 한발에 의해서 출수지연 및 영화 수가 감소하여 피해가 큼 생육단계별 한발피해는 감수분열기, 출수개화기, 등숙기, 유수형성기, 분얼기의 순으로 크게 나타나나 주요 생육단계별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한밭의 영향은 표 2와 같이 분얼 기 한밭은 수량감소는 물론이며 출수기가 매우 늦어지고 출수기에 가까이 올수록 수량에 크 게 영향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벼 생육단계별 한밭피해 정도를 보면 표 3과 같 다. 3. 한발피해 대책 가. 사전대책 . 한발피해 상습지에는 만식적응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 재배 . 한발을 대비한 논물가두기로 적기모내기 . 매년 6월하순부터 7월상순에 장마가 오므로 수리불완전논에 앞그루작물 재배로 한발 회피 . 튼튼한 모기르기 : 충분한 못자리면적 확보와 밭못자리 확대보급 . 지역별 단계별로 예비못자리 설치 나. 사후대책 . 못자리 후기 관리철저 : 노숙모 방지 . 늦모내기 : .불시출수를 감안 하여 모기른 일수가 긴 품종부터 이앙 . 늦심기 한계는 중부지방에서는 7월20일까지, 남부지방 에서는 7월25일까지 완료 . 늦모심기는 배게심기(33-39포기/㎡)와 포기당더심기(6-7모/주당) . 늦게심은 모는 생육기간이 짧으므로 질소비료를 20-30% 감비한다. . 모내기 완료된 논은 한발을 대비한 물관리 철저 - 뿌리내린후 물걸러대기 철저 - 찬물나는 논 물온도 높여 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