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식량작물

상세보기
출수기 벼농사에서 실천해야 할 핵심과제
작성자 문 현 섭 등록일 2001-08-24 00:00:27 조회수 3,534
첨부 #1 출수기 벼농사.pdf

1. 병해충은 적기방제가 중요하다.

이삭도열병은 예방위주로, 벼멸구는 방제적기와 적용약제의 선택이 가장 중요 하며 방제시기가 비슷한 혹명나방, 이화명나방등과 동시방제를 한다.

■ 이삭도열병

○ 이삭이 팰 때 비가 자주 오거나 기온이 낮게 경과될 때 많이 발생하고 병원균도 이삭팰 때 부터 그후 10일 사이에 가장 감염이 잘 된다.

○ 도열별 발생상습지, 안개가 늦게 걷히는 분지지역, 냉기가 흐르는 산간지역이나 병에 약한 품종(진미벼, 일품벼등) 재배논 등은 침투이행성 입제나 수화제로 방제한다.

○ 방제횟수보다는 제때에 알맞는 양을 뿌려야 한다.

※ 유제, 분제로 방제할 경우 1차는 벼이삭이 2∼3개 보일때 방제하고, 2차는 1차 방제후 5∼7일경에 한다.

■ 벼멸구

○ 벼멸구는 중국으로 부터 날아오는 시기가 빠르고 날아온 횟수가 많거나 7∼8월의 온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한다.

○ 농촌진흥청이나 도농촌진흥원에서 발표하는 예찰정보에 따라 방제시기를 결정토록 하되 약제는 볏대 아랫부분까지 닿을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을 뿌리는 것이 좋다.

※ 1차방제 : 7월하순∼8월상순(증식원 줄이기)

※ 2차방제 : 8월중순

○ 매년 벼멸구 발생이 많은 남부 및 서부해안지방과 방제일손이 부족한 농가등에서는 약효가 우수한 부프로페진계 농약을 선택하는 것도 좋다.

2. 물걸러대기를 한다.

○ 어린 이삭이 만들어지는 시기에 물이 부족하면 벼알수가 적어져 수량이 감소한다.

○ 이때는 새뿌리의 발생량이 적고 뿌리의 활력이 떨어져 산소흡수가 부족하게 므로 물걸러대기와 물떼는 시기를 잘 지켜야 한다.

※ 완전물떼는 시기 : 이삭팬 후 30∼35일 후

○ 찬물대는 논은 돌림도랑이나 비닐튜브를 설치한다.

3. 기상재해 피해에 대비를 한다.

○ 태풍통과가 예상될 때에는 물을 깊이대어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죽는 백수피해와 쓰러짐을 경감토록 한다.

○ 태풍, 호우등으로 물에 잠긴 논에서는 물이 빠질때 흙앙금을 씻어주고 물빠진 후에는 도열병 등 병해충 방제에도 힘써야 한다.

○ 쓰러진 벼는 서둘러 4∼6포기씩 묶어 세우는 것이 좋다.

4. 이런것도 잘 실천해야 합니다.

○ 이삭팬 후에 주는 거름은 미질을 나쁘게 하므로 극히 비료기가 부족한 경우이외에는 주지 않는다.

○ 종자용 벼로 사용할 논은 피와 잡이삭을 뽑아 없애야 한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