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삭도열병과 벼멸구 방제는 이렇게 합시다. 작성자 문 현 섭 등록일 2001-08-25 00:00:11 조회수 5,979 |
---|
첨부 #1 이삭도열병과 벼멸구 방제.pdf |
8월은 벼농사 병해충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병발생이 바로 감수(減收)로 직결되는 이삭도열병은 이삭이 팰 때 부터 10일 사이에 가장 많이 걸리고, 벼멸구도 예년에 방제효과가 좋은 부프로페진계 농약 으로 한번만 방제할 경우 8월 상순에서 중순 초반까지가 방제적기가 되기 때문이다. 1. 이삭도열병 가. 병발생이 많은 조건 그해의 이삭도열병 발생이 많고 적음은 이삭팰 때를 전후한 시기의 기상환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 시기에 비가 자주 오거나 안개가 낀 날이 많을 때, 밤과 낮의 기온차가 커서 이슬맺히는 시간이 긴 경우에 발생이 많다. 그 이유는 도열병의 병원균은 곰팡이균으로서 기온이 20∼22℃, 습도는 90% 이상 되어야 분생포자가 퍼져 흩날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분생포자가 벼잎의 세포를 뚫고 들어가는데는 반드시 이슬 등의 물방울이 있어야 가능한데 도열병발생의 최적온도인 24℃에서는 7시간(15℃에서는 12시간)은 있어야 된다. 따라서 찬물이 흐르는 산간계곡지대, 안개가 많이 끼는 지역, 모래논 등에서 특히 발생이 많다. 그리고 잎도열병이 늦게까지 번져 윗잎에도 병무늬가 많아지게 되면 포자 형성량도 많아지는데 이때 태풍이나 강한 비, 바람등으로 이삭목이나 가지에 상처를받으면 병균침입이 쉬워져 발생이 많아진다. 나. 최근 도열병 발생이 심했던 지역 93년에는 경기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일품벼에서 잎도열병이, 진미벼에서는 이삭도열병 발생이 심하였고, 94년의 경우에는 중부지방에서 직파재배 한 농안벼에서 이삭도열병 발생이 많았다. 또한 지난해에는 경기, 충북, 경북 북부지방 등 중부권에서 재배한 일품벼에서잎도열병이, 주안벼에서는 이삭도열병 발생이 많았으며, 특히 여뭄후기까지 병이진전되는 특징을 보였다. 다. 이삭도열병 방제는 이렇게 도열병은 벼의 체질과도 관계가 깊으므로 이삭거름과 알거름을 줄때는 잎색을보아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잎색이 짙은 논은 비료를 주지 않도록 하고,비료를 주어야할 논도 비가자주오고 구름끼는 날이 많거나 도열병 발생상습지역 등에서는 양을 줄여서 주는등의 조처도 필요하다. 도열병균이 벼이삭목에 침입하는 기간은 대체로 이삭팰 때 부터 10일간이고 가지나 벼알에 침입하는 것은 이삭팬 후 20일경 정도까지가 되므로 이 기간에 병균 침입을 막는 것이 방제요령이다. 방제방법은 사용하려는 약제특성에 따라 침투이행성약제와 일반 유·수화제 방제로 나눌 수 있다. 2. 벼멸구, 흰등멸구 가. 생활사는 어떠한가? 벼멸구는 매년 6월부터 저기압이 중국대륙으로 부터 장마와 함께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날아와 2∼3세대를 경과하는데 대체로 8월상순 이전에 날아온 멸구가그 해의 피해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날아온 어른벌레는 교미 후 볏대속에 200∼300개씩 알을 낳아 밀도가 늘어나고8월하순∼9월상순경에 피해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또한 날아올 때는 모두가 긴날개형이나 벼에 알을 낳은 다음세대 부터는 짧은날개형이 많이 나타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서 집중적으로 알을 낳고 번식하여 피해를 준다. 각 세대기간은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나 알에서 어른벌레가 되기까지는 18-23일정도로 날아온 시기가 빠르고 비래량이 많은 해에 발생이 많다. 특히 7월이후에 높은 온도가 계속되는 해는 적은 양이 날아온 경우라도 알깨는비율이 높아지고 세대기간이 단축되어 발생횟수가 늘어나 피해를 주기도 한다. 나. 벼멸구 방제요령 벼멸구 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약제살포에 적당한 시기와 알맞은 약제를 선택하는 일이다. 따라서 방제적기를 일괄적으로 설정하기는 어려운면도 없지 않으나 대체적인 시기는 7월하순에서 8월중순(1차 방제적기는 7월하순∼8월상순, 2차 방제적기는 8월중순임)이다. 그러나 가장 정확한 방제적기는 농촌진흥청이나 도(道)농촌진흥원에서 발표하는병해충발생정보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