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봉벼 작성자 이동창 등록일 2001-08-25 00:00:20 조회수 5,531 |
---|
첨부 #1 운봉벼.pdf |
1. 육성경위 운봉벼는 중산간 고랭지에 알맞는 조숙, 내냉, 내병, 다수성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77-'78동계에 작물시험장에서 단간 내병 다수성인 후께이 104호를 모본으로 하고 후지 269호를 부본으로 하여 육성중인 SR8322 조합의 3세대를 1981년 호남작물시험장 운봉출장소에서 분양받아 제4세대 이후부터 조숙, 내냉, 단간, 다수성 방향으로 선발을 계속 실시하면서 주요특성을 검정한 결과 SR8322-4-9-2-2가 우수계통으로 인정되어 운봉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1984-1985년 2년간 27개소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성 검정결과 내륙 중간산지와 고랭지에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1985년 11월 주요농작물 종자심의회에서 "운봉벼"로 명명하여 장려품종으로 결정하였다. 2. 주요특성 가. 생육특성 및 미질 운봉벼의 출수기는 7월 25일로 여명벼보다 1일, 오대벼보 다 3일정도 빠른 조생종이다. 간장은 여명벼나 오대벼보다 짧은 단간종으로 내도복성이며 수장은 여명벼와 비슷하고 수당립수는 오대벼와 비슷하다. 등숙비율은 다소 높은 편이며 망이 드물게 있고 잎은 짙은 녹색을 띈다.(표1) 운봉벼의 쌀알은 여명벼나 오대벼에 비하여 다소 작고 투명도는 여명벼와 비슷하며 심복백이 거의 없다. 호화온도와 알카리 붕괴도가 낮고 아미로스함량이 낮아서 밥맛이 좋은 양질미에 속한다. 나. 병충해 저항성 도열병 저항성은 밭못자리와 목도열병검정 결과 여명벼에 비 하여는 강하나 오대벼에 비하여는 약한 편이다. 도열별 16개 군계에 대한 접종검정결과 전군계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백엽고병에 대하여는 K1, K2, K3 모두에 약하며 바이러스병에도 약하다. 벼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모두 약하며 애멸구에 대하여만 중도 저항성을 보인다. 다. 생리장애 저항성 운봉벼의 저온발아성은 양호한편이고 수발아성은 동일숙기인 여명벼에 비하여 현저히 낮으며 못자리일수 감응성이 민감하여 못자리일수가 길어지면 불시출수가 나타난다. 운봉벼의 내냉성은 여명벼와 같이 비교적 강한편이며 냉해에 의한 출수 지연이 적다. 성숙기 잎의 노화정도는 다소 빠른 편이나 위조현상이 없고 유묘기나 본답 생육중에 적고현상이 없다. 라. 수량성 및 재배적기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실시한 2년간의 지역적응연락시험 결과 수량성은 내륙산간지, 고랭지 및 동북북 해안지대에서 여명벼보다 다소 높거나 같은 수준을 보여 재배적지로는 동해안 냉조풍 지대를 제외한 중산간지 및 고랭지의 여명벼 재배지대이다. 3. 재배상의 유의점 운봉벼는 조생종으로서 동해안 냉조풍지대를 제외한 중산산 고랭지용 품종이며 소득작목 전후작 용으로 평야지대에서는 조기 또는 만기재배도 할 수 있다. 평야지대에서 소득작목 후작용으로 만기재배할 경우 불시출수현상을 고려하여 못자리일수를 30일 이내로 하여야 한다. 도일병 저항성은 여명벼보다 강한 중정도이나 일부지역에서는 약한 반응을 보이는 곳도 있으므로 과비재배시 목도열병방제에 유의해야 한다. 백고엽병, 호엽고병, 위축병 및 흑조위축병에 약하며 멸구류에도 약하므로 이들 상습발생지에서는 가능한 재배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재배시에는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4. 재배적응지역 동해안 냉조풍지대를 제외한 중간간지 및 남부고냉지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