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화훼류 관리요령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02-04-25 00:00:02 조회수 4,801 |
---|
5월은 비가 자주 내려 하우스 안에 습기가 많아 병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예방 위주의 방제에 주력하도록 한다. 시설재배의 경우 환기불량에 의한 고온생리장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30% 차광을 실시하여 강한 햇빛을 막고 0.03∼0.05 밀리 반사필름으로 토양 피복하여 상품성이 높은 꽃을 생산하도록 한다. 시설화훼류에서 진딧물, 응애, 온실가루이, 오이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등 고온성 해충의 방제를 위하여 황색 끈끈이를 설치하여 예찰을 강화하고 이들 해충이 발견되는 포장에서는 적용약제를 3∼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계통이 다른 약제를 바꿔가면서 뿌려 초기 방제에 힘쓴다. 1. 화훼류 주요 병해와 방제 가. 흰가루병 주로 신초, 어린잎이나 잎자루 등에 발생하지만 심하면 꽃자루, 꽃받침, 꽃잎 등에도 생긴다. 잎은 처음에 흰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반점으로 나타나지만 심하면 잎 전체가 밀가루를 바른 것처럼 곰팡이가 밀생한다. 최근에는 유황 훈증을 통한 흰가루병 예방 및 방제기술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열훈증기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과다사용에 의하여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잘 지키도록 한다. 나. 잿빛곰팡이병 주로 잎, 가지, 꽃잎에 발생한다. 잎의 가장자리나 선단부가 데친 것 같은 변색된 병반이 생기고, 그 부분은 오그라들며, 오래 되면 잿빛곰팡이가 생긴다. 어린 가지나 신초에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시설재배에서는 환기를 잘하고 난방방법을 개선하여 실내습도를 내리는 것이 병발생을 억제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병든 가지와 병든 꽃을 일찍 제거하여 전염원을 없애야 한다. 잿빛곰팡이병 방제용 농약을 사용하되 약해에 주의하고 약흔이 없는 훈연제나 유제로 방제한다. 다. 노균병 완전히 전개된 어린잎에 주로 발생하며 병든 잎의 표면은 불규칙한 수침상의 자색 또는 연한 황갈색으로 된다. 병반부의 뒷면에는 회백색의 곰팡이를 드문드문 볼 수 있다. 병이 심하게 진전되면 병든 잎은 모두 낙엽되고 줄기에도 자주색 또는 갈색의 무늬가 생기고 새싹에 발생하면 시들고 꽃봉오리의 꽃받침에도 같은 병반이 생긴다. 야간 잎에 이슬이 맺힐 정도의 다습한 조건은 발병을 조장하므로 야간의 습도를 85% 이하가 되도록 난방이나 환기를 정성껏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오후 늦게 또는 저녁에 관수하거나 약제살포하는 것을 피하고 주야간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노균병은 -5℃ 이하와 27℃ 이상에서 활동이 둔화되므로 낮에는 가능한대로 온실 내 온도를 높여 주고 해 질 무렵에는 온실 내 온도가 급강하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라. 녹병 주로 잎의 앞뒷면과 가지에 오렌지색의 둥근 사마귀 같은 덩어리가 군데군데 생긴다. 이른봄에는 잘 보이지 않다가 병이 진전되면 잎 표면에 작은 오렌지색 또는 갈색의 점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오렌지색의 사마귀가 발생한 잎과 가지는 보이는 대로 따내어 소각하여야 다음 전염원이 되지 않는다. 전정 할 때는 병든 가지를 깨끗이 잘라내 준다. 봄에 온도 및 습도가 녹병 발생에 적당한 시기가 되면 일주일 간격으로 예방 위주로 살균제를 살포해 준다. 온실은 환기를 자주 해주고 포화습도가 오래 동안 유지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마. 가지마름병 주로 가지에 발생한다. 처음에 자갈색 둥근 점무늬가 생기고 차츰 커져서 그 중심부가 회갈색으로 약간 옴폭하고 주위가 자갈색으로 약간 볼록한 반점이 크게 생긴다. 그 후 병반에는 표피가 터지고 표면에 검고 작은 입자가 생긴다. 심하면 병반이 줄기를 둘러싸므로 상부가 말라죽게 된다. 병든 부분은 발견 즉시 잘라서 소각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전정은 반드시 맑은 날 건조한 상태에서 하고 전정 후에는 자른 부위가 건조하도록 관리한다. 병든 줄기를 자른 가위 등은 뜨거운 물이나 포르말린액(250배)에 소독한다. 겨울 휴면기에는 병든 가지를 제거하고 석회유황합제 원액을 발라준다. 생육 중에는 다이젠엠45나 타로닐수화제 발라주면 효과적이다. 바. 탄저병 줄기와 잎에 발생한다. 연한 황갈색의 무늬가 생긴 후 차츰 흑갈색으로 되면서 전체로 퍼져 끝내는 말라죽게 된다. 병반부에는 검은빛의 작은 알맹이, 즉 곰팡이의 분생자퇴가 보인다. 습기가 많을 때에는 여기로부터 분홍색의 분생자가 많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병원균은 병반부에서 만들어지는 분생자퇴형으로 월동하여 다음해의 전염원이 된다. 병반부에서 균사체로 월동한 것은 분생자퇴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자낭각을 새로 형성하여 이들이 비산하여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피해를 입은 식물체는 빨리 제거하여 전염원이 되지 않도록 한다. 또 관수할 때는 식물체에 직접 강하게 뿌려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디치수화제, 타로닐수화제, 홀펫수화제, 프로피수화제 등을 뿌려 초기에 방제하는데 작물에 따라 약해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사. 시들음병 병원균은 곰팡이의 일종인 푸사리움(Fusarium oxysporum)이며 식물의 유관속으로 침입하여 뿌리나 구근을 썩게 한다. 삽수나 구근에 의해 전염되고 썩은 뿌리나 구근에 남아서 월동한다. 아. 균핵병, 흰비단병 균핵병의 병원균은 스크레로티니아(Sclerotinia sclerotiorum)이고 흰비단병은 콜티시움(Corticium rolfsii)이다. 두 병해 모두 균핵이 생기고 식물의 줄기나 잎자루에 침입하여 썩게 한다. 균핵병은 줄기의 전체에 침입하고 병든 표면이나 내부에 검은 쥐똥 크기의 균핵이 생기지만 흰비단병은 지면부 줄기에만 침입하여 주변 토양에 배추씨 정도되는 백색 또는 갈색의 균핵이 생긴다. 자. 뿌리썩음병, 역병 곰팡이의 일종이며 뿌리썩음병의 병원균은 피씨움(Phythium)이고 역병은 파이토프쏘라 (Phytophthora) 이다. 두 병해 모두 지면부의 줄기, 잎, 뿌리에 침입하여 조직을 썩게 한다. 토양이 습하고 고온일 때 많이 발생하고 전염된 토양이 잎이나 줄기에 묻으면 그 부분에 발병하기도 한다. 배수 불량지 또는 시설 내 수분이 많은 곳에 피해가 크므로 토양소독을 실시한다. 차. 세균병 작물에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무름병, 세균성시들음병, 풋마름병, 궤양병 등이 있고 병원균은 크게 4가지 속이 있다. 무름병의 병원균은 어위니아(Erwinia), 풋마름병이나 세균성시들음병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 점무늬세균병은 싼토모나스(Xanthomonas), 궤양병은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등이며 작물에 따라 병명이 다르다. 2. 장 미 장미는 규격별로 선별수확 후 곧바로 물통에 꽂아 물 올림과 예냉을 실시해야 하는데 물올림은 5% 설탕용액(물 1리터당 50g 설탕을 녹임)과 STS(치오황산은 Silverthiosulfate) 용액을 1:1로 혼합하여 2시간 정도 처리한다. 3. 국 화 백광, 춘광등 여름철 국화는 5월 중순경에 아주 심을 수 있도록 준비한다. 시설재배는 고온으로 인한 각종 생리장해가 발생하여 절화 품질이 떨어지게 되므로 하우스 차광과 반사필림 토양 피복재배를 하도록 한다. 4. 백 합 오리엔탈 백합 소구를 이용하여 구근재배 중인 포장은 볏짚등을 덮어 주어 잡초발생 억제및 구근비대를 좋게 한다. 구근화훼류 절화 수확이 끝나면 하우스 관리가 소홀하기 쉬운데 알뿌리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병해충 방제, 물주기를 잘하여 우량 종구를 생산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