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도 마 늘
- 작성자
- 우종규
- 작성일
- 2001-07-09 00:00:32
- 조회수
- 5,518
마늘은 종자를 맺지 못하고 영양번식을 하는 작물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품종개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지역적으로 그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여 계속 재배된 생태종들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품종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환경과 유사한 국내, 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을 수집 재배하여야 한다. 이러한 육종 방법을 도입육종이라 하는데 중국 가정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는 가정백 마늘을 도입하여 국내 적응 시험을 거친 결과 그 성능이 우수하여 품종화 한 것이 남도마늘이다.
1. 남도마늘 육성경위
2. 품종의 특성
가. 남도 마늘은 월동전에 잎이 자라 올라와 겨울의 추위를 경과하며, 봄에 추 대하는 난지형 품종임
나. 재배지역은 제주도, 전남 및 경남 해안가의 따뜻한 지역임
다. 주로 풋마늘 및 조기 햇마늘용으로 재배되고 있음
라.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나 파종기는 9월 하순이며, 수확기는 6월 상순부터 중순임
마. 남도마늘의 원예적 특성
3. 재배상의 유의점
가. 풋마늘로 재배할 때에는 15 x 10 ㎝로 다소 밀식하는 것이 좋음
나. 5월 생산을 위하여는 비닐멀칭재배를 하여야 함(피복시기는 파종후 맹아전에, 피복 제거 시기는 3월 하순경임)
다. 열구가 생기지 않도록 재배중에 배토와 적기에 수확토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