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봉온도관리
작성자
강ㅇㅇ
작성일
2022-05-04 16:10:33
조회수
1,168 회
상태
완료

담당부서
담당 부서가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무가온 한라봉 재배시 한라봉 꼭지깃 발생을 위한 온도관리 방법문의 입니다. 2022년 제주농업기술원 동영상(양창희 강사) 교육자료를 보면 꼭지깃 발생을 위해서는 백화기~낙과기 기간에 주간 30도 이상의 온도관리가 필요하다 하고 서귀포 농업기술원 2021, 2022교육강의 자료에는 주간 최고 25도로 관리하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개폐기 온도가 실제 관리 온도가 아닌건 알지만 두 기술원에서 권장하는 온도편차가 너무 커서 혼란스럽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한라봉온도관리 답변
작성자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답변일
2022-05-10
담당부서
연락처

○ 서귀포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 귀하께서 질의해주신 사항에 대하여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한라봉의 꼭지깃 발생은 품종고유 특성으로 한라봉의 봄철 기온의 주.야간 편차 즉, 10℃ 내외에서 발생합니다. 하지만 수세가 약하거나 꽃발생이 많으면 영양부족으로 만개 일수가 빨라지면서 열매가 정상 착과 되지 못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을 이후 나무의 수세를 회복시키고 꽃이 많으면 꽃전정 및 적화를 통해 꽃수를 줄여야 꽃이 건강해집니다. 이렇게 꽃이 건강하면 주.야간 편차가 10℃ 전후에서도 꼭짓깃이 정상적으로 발현되며, 반면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 경우 주간 30℃, 야간 15℃를 유지 관리 하시면 됩니다.
  이때 주간 30℃는 개폐기 설정온도가 아니라 실내온도를 의미합니다.
참고로 수세가 약한 상태에서 주간 30℃ 이상을 주면 개화가 빨라지면서 기형과 발생이 많고 낙과가 많아질 수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서귀포농업기술센터 감귤지도팀(760-7831~4)에 전화주시면 성실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 우리 서귀포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다시한번 환영하며, 앞으로도 질문(요청)이 있다면 언제든 제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 평가 하기

로그인 후 답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