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채소류 관리요령
- 작성자
- 운영자
- 작성일
- 2002-04-25 00:00:01
- 조회수
- 4,994
( 감 자 )
★ 생육단계 : 비대기
1. 일반작업
* 강우시 각종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므로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 한다.
2. 병해충 방제
가. 역병
*비가 자주 오고 흐린 날이 되풀이 될 때 잎과 줄기에 갈색 병무늬를 형성한다. 병 증상이 심해지면 빠른 시일 내에 확산되지는 특징이 있다.
* 방제약제
- 예방 및 발생초기 : 산도판 700배, 포름 1,000배
- 진행기 및 추가 방제시 : 포름씨 500배, 포름디 500배, 산도판골드 500배 등
* 발병시 약제 살포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기상 경과에 주의한다.
나. 진딧물, 나방류 해충
* 기 기온의 상승과 더불어 진딧물, 나방류 해충 등이 발생되고 있다.
* 방제약제
- 진딧물 : 코니도 2,000배, 진굴탄 1,000배 등
- 나방류 : 야무진 1,000배, 렘페이지 1,000배 등
( 채 소 )
1. 마 늘
* 잎마름병과 녹병의 발생이 심해지고, 연작지에서는 토양 전염성 병원균인 흑색썩음균핵병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방제약제를 살포하여 병의 확산을 막도록 한다.
- 잎마름병 : 만코지수화제, 타로닐수화제, 프로피수화제,이프로수화제, 쿠퍼수화제
- 녹 병 : 시스텐엠수화제 500배, 헥사코나졸액상수화제2,000배, 바이피단 수화제 1,000
배, 굳타임수화제 1,000배액 등
- 흑색썩음균핵병 : 생육기 처리 터브코나졸(호리쿠어, 실바코) 500배액을 토양 관주
* 수확과 저장
- 올해는 기상조건이 양호하여 평년보다 수확시기가 다소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 육안으로 판단하여 지상부 잎이 1/3 이상 고사하면 수확적기가 된다. 수확 후 건조기간은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는 2∼3개월, 40∼50℃로 열풍 건조하면 2∼3일 정도 지나야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 건조시 마늘의 잎줄기를 마늘통 위에서 1∼2cm 정도 남겨 자르고 뿌리는 바짝 자르는 것이 편리하다.
2. 양 파(만생양파)
* 저온성 병원균인 노균병(발병적온10∼15℃)과 연작지 토양전염성 병해인 흑색썩음균핵병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방제약제를 살포하도록 한다.
- 노균병 : 포스만수화제 600배, 메타실엠수화제 800배, 메타실동수화제1,500배 등
- 흑색썩음균핵병 : 마늘흑색썩음균핵병과 동일
3. 시설채소(토마토, 오이)
* 한낮에는 환기 및 차광을 실시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하되 햇빛은 충분히 받도록 해준다.
- 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으면 잿빛곰팡이병 등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철저한 환기로 적정 습도를 유지하여 주고, 가급적 점적관수를 이용하고 오전에 물을 주도록 한다.
- 시설채소 재배에서 농약을 사용할 때는 안전사용 기준을 반드시 지켜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도록 한다.
* 병해충 방제 : 총채벌레류, 아메리카잎굴파리(과채류)
- 오이, 토마토 등 과채류 작물에 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등 작은 해충의 밀도가 점차 높아지는 시기이므로 수시로 포장관찰을 실시하여 밀도가 높아지기 전에 방제한다.
- 특히 수확중인 과채류에는 살충제 사용시 농약잔류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농약안전사용에도 유의하도록 한다.
◆ 방제약제
- 총채벌레류 : 부메랑수화제 2,000배, 리전트액상수화제 1,000배, 올스타유제 3,000배, 리전트과립수화제 1,000배 코니도수화제 2,000배 등
- 아메리카잎굴파리 : 다갈수화제 1,000배, 파단수용제 1,000배, 스미치온수화제 1,000배, 아바멕틴유제 3,000배 등
- 담당부서
- 담당자
- 기술지원조정과
-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