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의 재해석 게시물 상세보기 | |||
---|---|---|---|
제목 | 전정의 재해석 | ||
작성자 | 문ㅇㅇ | 작성일 | 2025-05-14 10:31:02 |
조회 | 202 회 | 상태 | 완료 |
담당부서 |
|
||
ㅇ 수고가 많으십니다. 감귤의 전지전정에 대하여 문의드리겠습니다. ㅇ 저는 농업기술원 유튜브, 자료 등을 잘 찾아서 보고 있고 현장에서 적용시킬려고 부단히 애를 쓰고 있습니다만.... 현실과 차이가 있어서 어느게 맞는 정보 인지 헷갈입니다. 1. (농업기술원) 레드향, 유라 등 여름전정은 필요하다. 여름순이 내년 결과모지가 되어 레드향 같은 경우 해거리 안한다. (전정기술자 및 다년간 경험 농업인들) 무사 여름 전정햄수과?.... 열매는 봄순에서 달려야 되는데... 이번이랑 여름에 건들지 맙서.... 2. (농업기술원) 레드향은 3월 전정 시 천혜향, 한라봉과는 달리 강하게 전정(절단) 하여야 한다. (전정기술자 및 다년간 경험 농업인들) 레드향은 강하게 자르면 꽃이 안와서, 약전정으로 해야 됩디다....
어느게 정답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구체적으로 논리(과학)적인 이유를 듣고 싶습니다.
|
전정의 재해석 게시물의 답변 목록 | |||
---|---|---|---|
작성자 | 기술지원조정과 | 답변일 | 2025-05-15 |
담당부서 | 연락처 | 064-760-7515 | |
저희 농업기술원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 질문한 것에 관하여 답변 드립니다. 만감류 재배에서 여름전정은 수세·착과량·결과모지 발생 정도·6월에 발생된 가지 등에 따라 10% 이내 약전정 위주로 실시합니다. 여름순이 발생한다는 의미는 구엽보다 광합성 능력이 좋고 새로운 뿌리 발생, 양수분 흡수능력 증대, 탄수화물 축적이 좋으면서 당도 증가에 유리하고 과실비대를 촉진시킵니다. 그러나 여름 전정의 문제점도 있습니다. 여름순을 결과모지로 이용 시 착과 부위가 높으면서 무효용적(빈가지)이 많아지고 여름순 녹화 후 화아분화가 안되어 꽃이 적어질 수가 있으며, 과다한 여름전정은 수세가 약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여름전정 방법은 7월 하순경 6월 순 발생한 가지를 대상으로 수관 내부 발생한 도장가지는 제거하고 올 해 발생된 봄순 길이 20cm 부위 봄순 여름순 마디 밑에서 절단 전정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가지발생량에 따라 조절하면서 여름 전정 하면 되겠습니다. 여름전정은 반드시 실천해야 할 작업은 아닙니다. 뚜렷한 목적을 갖고 과원상태, 나무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서 작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외에도 상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기술지원조정과 기술지원팀(760-7531~3)이나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를 방문하여 대면상담을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