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선생님께서 질의해주신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리겠습니다.
육안으로 관찰하실 수 있는 응애라고 하니 귤응애로 생각되어집니다.
<귤응애>
1. 발육단계: 알→유충→전약충→후약충→성충
-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21℃에서 20.7일, 24℃에서 14.2일, 27℃에서 11일, 30℃에서 9.1일이 소요됨
2. 발생특성
- 5∼6월 제1차 발생최성기를 보이다가 7∼8월 고온기에 밀도 감소
- 8월 하순∼9월 상순에 다시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10∼11월에 제2차 발생최성기가 나타나고, 11월 말부터 밀도 감소
3. 방제
- 3∼4월부터 예찰하여 발생초기에 방제 해야함
- 귤응애와 같은 잎응애류는 약제저항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동일계통의 약제는 1년에 1회만 살포해야 함(약제의 작용기작이 달라야 함)
⇒ 살포약제 상품명을 알려주시면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현재 하우스에 기계유유제를 사용하시면 약해가 우려됨으로, 기계유유제를 사용하시지 말고 파라핀유 200배로 잎 뒷면에 꼼꼼히
살포하여 방제하시면 됩니다.
<화살깍지벌레>
1. 발생특성: 연 2세대 발생하며, 성충은 4차례에 거쳐 주기적으로 산란하여 약충 발생시기가 복잡함.
2. 방제: 1세대 약충방제는 6월 상순과 7월 상순, 2세대 약충방제는 8월 하순과 9월 하순에 등록약제로 방제(과원마다 발생에 차이가 있으니 예찰 필요)
⇒ 화살깍지벌레가 발생하였지만 관찰이 안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과원 전체를 방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화살깍지벌레 등 깍지벌레는
약충시기에 방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세대 약충을 방제하시고, 예찰후 발생한다면 2세대 약충 방제시기에 방해하시면 됩니다.
<참고사이트>
농약정보(작용기작, 안전사용시기 등):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친환경연구과 760-7364로 연락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우리 원 홈페이지 방문을 다시 한 번 환영하며, 앞으로도 질문(요청)이 있다면 언제든 제안하여 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