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송이 균상진단 방법
- 작성자
- 박 정 식
- 작성일
- 2001-07-30 00:00:14
- 조회수
- 4,695
1. 퇴비중 균사의 생장이 부진할 때
퇴비는 양호하나 종균의 생장이 부진하다-종균불량
퇴비의 물리성은 양호하나 균사 생장이 안된다-야외퇴적 및 발효불량
퇴비가 과습하다-후발효불량 암모니아과다
퇴비가 검은 빛을 띠고 있다-후발효 불량
퇴비가 붉은 빛을 띠고 흰가루가 많이 있다-고온 및 건조
재배사에 악취가 난다-후발효 불량
퇴비의 농록색 깨알 같은 잡균이 있다-오리브곰팡이, 고온발효
퇴비에 먹물버섯이 발생하였다-과습 및 후발효 불량
후발효전 퇴비에 흰 명주실 같은 균사가 보인다-괴균병
퇴비의 암모니아 함량이 높다(300ppm이상)
재배사 전체가 생장이 부진한 경우
상하가 구분된때 - 후발효 및 온도 부적당
군데군데 자라지 않은 부분이 있을때 - 퇴비불량, 과습, 병해충
퇴비속의 곡립종균에서 잡균이 발생한다-종균불량
균상면의 전 곡립에서 잡균이 발생한다-재배사 고온
곡립에서 균사발생이 늦고 균사가 특별히 짙고 두껍다-종균불량
퇴비에 이상이 없는데 잡균발생이 심하다-종균불량, 재배사 과습
종균이 4∼5일간 잘자라다가 소멸된다 - 퇴비불량
균사가 종균의 곡립주위에서만 솜털같이 자라다가 퇴비에는 활착이 안된다 퇴비 불량
2. 균사가 생장한 후 쇠퇴 혹은 사멸될 때
퇴비의 색이 담갈색으로 남아 있다 -암모니아 및 기타 유해물질
솜털같은 가는 균사는 없고 굵은 균사만 있다 - 암모니아 및 기타 유해물질
균상의 중심부 특히 상단에 먹물버섯이 발생하고 내부의 균사가 소멸된다 퇴비의 재발열
균사가 잘 자란후 곡립에서 잡균이 발생한다 - 퇴비의 재발열
균사가 국부적으로 소멸되면서 악취가 난다 - 선충
균사가 국부적으로 자라지 않는 부분이 있고 출입구나 벽쪽의 퇴비에서 균사가 소멸된다 - 퇴비과습 및 선충
균사가 소멸되면서 표면에 호도알 같은 유백색 덩이가 발생한다 - 괴균병
3. 균사생장의 비정상
생장한 균사가 희미하고 잿빛가루를 뿌려 놓은 듯하다 - 퇴비불량
균상의 표면과 밑에 균덩이가 형성된다 - 종균불량
균사는 잘 자랐으나 내부의 곡립이 균사와 유리되어 있다 - 종균불량
균상표면에만 균사가 엉성하게 자라고 균사가 자라지 못한다. 암모니아 및 유해 물질의 축적
접종된 종균의 주위에는 균사가 적고 곡립의 형태가 뚜렷하게 팽창되어 있다.종균불량
4. 복토층의 이상
복토에 균사가 잘 자라지 않는다 - 복토재료, pH, 수분, 환기, 선충, 응애,약해
복토의 중간까지는 잘 자라나 표면에 나오지 않고 정지된다 - 실내온도를 높이고 신문지 위에 관수
복토층에 균사가 왕성이 자라서 균덩이가 된다 - 종균불량, 복토재료 불량
복토층에 균덩이가 많다 - 종균불량
복토층에 균사생장은 왕성하나 버섯발생이 부진하다 -복토내 균사생장과다,약해
초기에는 정상으로 수확되나 후기에는 격감한다 - 병충해, 퇴비과습이나 건조
정상적인 재배가 계속되다가 차츰 수량감소, 기형버섯이 발견된다- 바이러스,미이라병
균사는 정상적으로 자랐으나 버섯발생이 불량하다 - 퇴화, 혼종,병충해,관리불량
첫 주기부터 버섯이 깊게 나고 갓 부분이 복토를 엎고 자란다 - 복토건조
어린버섯은 많이 형성되나 자라지 못하고 사멸된다 - 관리 불량
닭 벼슬 모양의 버섯이 많이 난다 - 균상에 도료칠을 할 경우
수확중 버섯발생이 갑자기 중단된다 - 병해충, 온도
수확후기의 버섯 발생량은 많으나 생장이 부진하다 - 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