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벼 작성자 이점호 등록일 2001-07-31 00:00:01 조회수 3,693 |
---|
첨부 #1 용문벼.pdf |
1. 육성경위 용문벼는 조숙 양질 내병 다수성 신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79년 하계에 작물시험장에서 조숙 내병 다수성인 태백벼와 양질다수성인 밀양29호를 교배하여 SR9428의 교배번호를 부여하고 초기세대를 동계세대 촉진을 실시하면서 선발하였다. 1983년에는 F6세대를 계통재배와 더불어 1983-'84년 2개년에 걸쳐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고 조숙이면서 초형이 좋고 내병양질 다수성계통으로 유망시되는 SR9428-B-B-48-2-2를 선발하여 수원332호의 계통명을 부여하였으며 1985년 지역적응시험에 공시함과 동시 각종 병충해 저항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중북부 내륙평야지대 및 남부 중산간지대에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1985년 주요 농작물 종자심의회에서 용문벼로 명명함과 동시 새로운 준장려 품종으로 결정되어 농가에 보급하게 되었다. 2. 주요특성 가. 출수기 용문벼의 출수기는 5월25일 이앙한 보통기재배에서 태백벼와 비슷하나 풍산벼 보다 2일정도 빠르며 6월25일에 이앙한 만식재배에서는 태백벼에 비하여 6일정도 늦었고 풍산벼 보다는 7일정도 빨랐으며 6월15일에 이앙한 이모작 재배에서는 태백벼보다 6일정도 늦었으나 풍산벼와는 비슷하였고 남양간척지에서는 태백벼와 비슷하고 풍산벼보다는 1주일정도 빠른 조생 품종이다. 나. 생육 간장은 태백벼에 비하여 6cm정도 큰편이고 풍산벼보다 약간 적으며 줄기가 굵고 강하여 도복에 강하며 초형은 직립이다. 수장과 주당수수는 풍산벼와 비슷하고 수당립수가 많으며 등숙율이 높다. 출수기의 이삭 추출도는 양호하며 탈립성은 중정도다. 다. 미질 쌀알은 태백벼와 풍산벼에 비하여 짧고 둥근편이며 심복백이 적고 맑아 아미로스함량은 낮으며 호화온도는 중정도이고 현미1000립중이 태백벼와 비슷한 중립종이며 정현비율이 높은 편이다. 라. 병충해저항성 도열병저항성은 중강정도이며 백엽고병은 K1균계에만 강하고 호엽고병, 위축병에 강하나 흑조위축병에는 중강정도이다. 주요충해에는 끝동매미충에만 강하고 기타 충해에는 약한 편이다. 마. 생리장해저항성 저온발아성은 15℃에서 태백벼보다는 약간 낮은 편이나 풍산벼와 비슷한 중정도이며 못자리 기간이 다소 길어지더라도 불시 출수 현상은 거의 없으며 냉해에는 태백벼와 같이 약하다. 등숙기의 엽노화는 늦은 편이다. 3. 수량성 및 적응시험 1985년에 실시한 지역적응시험결과 전국 27개소의 보통기보비 재배에 6.05 MT/ha로서 태백벼에 비하여 평균 11%, 풍산벼에 비하여 평균 6% 증수 되었고 수원의 다비재배에서는 태백벼 및 풍산벼에 비하여 각각 7%, 만식재배에서는 태백벼에 비하여 23% 풍산벼에 비하여 3% 증수되었다. 4. 재배상의 유의점 가. 용문벼는 내냉성에 약한 편이므로 반드시 최아 파종하고 보온절충 못자리로 하여야 하며 조생품종에 속하나 산간고냉지 및 냉수용출답에서의 재배는 피하여야 한다. 나. 도열병 및 백엽고병은 기간방제를 하여야 하고 벼멸구를 비롯한 대부분의 충해에 약하므로 적기 방제에 주력해야 한다. 다. 만식 적응성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극만식재배는 피해야 한다. 라. 단간 내도복 수중형 품종이므로 재식밀도를 다소 높이고 분얼비 시용등에 의하여 적정수수 확보에 힘쓰는 것이 수량 증가에 유리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