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식량작물

상세보기
벼 직파재배의 경제적효과
작성자 조홍기 등록일 2001-08-14 00:00:02 조회수 3,647
첨부 #1 벼 직파재배의 경제적효과.pdf


1. 노력비 증가와 직파재배 보급추이

가. 쌀 생산비중 토지용역비와 노력비의 비중
1994년산 논벼의 10a당 평균생산비는 400,502원 으로 1988년의 323,170보다 23.9%가 증가하였다. 논벼 생산비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토지용역비의 비중은 1988년의 54.6%에서 1994년에는 40.3%로 그 비중이 14.3% 낮아졌고, 노력비의 비중은 1988년의 20.7%에서 '94년 27.7%로 7.0% 높아졌다. 10a 당 노동투하시간이 67.7시간에서 37.2시간으로 감소되었는데도 농촌노임의 상승폭이 컸기 때문에 생산비의 노력비 비중이 높아졌다.

나. 최근의 직파재배 변화추이
노력비의 비중 증가에 대처하기 위하여 기계화의 증가와 함께 직파재배 도입 농가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1995년 전국의 직파면적은 전체 벼식부면적의 11.1%였으나 전북의 직파면적은 14.9%로 전북의 직파재배 확산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직파재배 면적의 변화추이에서 주시해야 할 점은 1994년도와 1995년도의 건답직파면적과 담수직파 면적의 변화 양상이다. 1994년도에는 전국의 담수직파 면적이 51.5%였으나, 전북의 경우는 담수직파 면적이 61.0%로 건답직파 면적에 비해 22% 정도 많았다. 그러나 1995년도에는 전국의 경우 건답직파 면적이 57.6% 였으며, 전북에서도 75.5%로 건답직파 면적이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하였다. 이는 파종시기에 가뭄의 계속으로 농업용수가 부족하여 담수직파 농가가 건답직파로 전환한 면적이 많았기 때문이다.

2. 조사농가의 영농개황

가. 직파재배 연차별 경영주의 연령 및 재배면적 분포
담수직파를 도입한 농가의 평균연령은 57.5세 였다. 금년에 처음으로 도입한 담수직파 재배농가의 연령은 65.6세로 평균연령보다 8세이상이 더 높았다.
이것은 농촌 내의 기술혁신 수용의 범주에서 신기술을 즉시 수용하는 혁신자 그룹은 위험부담을 극복할 수 있는 젊은 층이기 때문에 2∼3년차 농가의 연령이 다소 지체자 그룹인 1년차 농가보다 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면에서 살펴보면, 아직도 담수직파가 일반화된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생산력이 높은 자가노동력을 보유하고 이앙기가 있는 농가에서는 안전한 기계이앙으로 확실한 수량을 보장받고 농기계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직파재배를 기피하는 것이며, 이앙기가 없어서 이앙을 위탁해야 하는 농가와 고령자로서 기계 조작능력이 떨어진 고령 농가가 직파재배를 선택하는 이유도 있다.

나. 재배연차별 직파재배 변화
조사농가는 벼재배면적의 48% 이상을 담수직파로 재배하였으며, 2년차 농가에서 담수직파 비율이 7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2년차의 평균 연령이 50.9세로 전체 평균연령 55.9세보다 젊기 때문에 신기술의 수용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담수직파를 수용한 농가내에서의 직파확대 추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3년 이상의 재배경험을 가진 농가를 대상으로 연차별 직파면적의 변화실태를 알아보았다. 도입 첫 해인 1992년에는 1.6ha 수준의 시험재배 단계였으나 경험이 축적된 다음 해부터는 3.6ha 수준으로 증가하여 안정 추세였다.
그러나 1995년에는 2ha 수준으로 낮아졌는데 파종시기에 가뭄으로 농업용수가 부족하여 담수직파로 하지 못하고 건답직파로 대체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 직파연차별 재배품종 변화
직파재배 품종이 개발되지 못한 현실에서 담수직파 농가에서 주로 재배하는 품종은 동진벼, 일품벼, 영남벼, 계화벼 등이었으며, 연차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농민들이 선호하는 품종을 다양하게 재배하지 못하고 기보급된 품종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3. 벼 담수직파 농가의 재배연차별 경제성 분석

가. 벼 담수직파 농가의 재배연차별 노동력 절감정도
재배연차별 10a당 노동력 투하시간은 1년차 농가가 27.70시간이었으며, 2년차 농가는 20.23시간, 3년차 농가는 19.47시간이 소요되었다.
노동력 절감은 1년차 농가에 비해서 2년차는 10.9%, 3년차 농가는 14.2%의 생력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2∼3년차 농가에서 영농경험에 의한 기술축적의 결과로 보식시간과 인력제초 시간이 적게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나. 벼 담수직파 재배연차별 생산비 절감정도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생산비를 조사·분석한 결과 재배연차별로 차이를 보이는 비용은 종자비, 비료비, 농약비, 노력비로 나타났다.
변동요소 비용의 합계는 10a당 평균 106,662원 이었다. 1994년도 전북 쌀 생산비(10a당) 중 위 4가지 비용의 합계 139,948원에 비하여 33,286원이 절약되어 23.8%의 절감효과가 있었고, 10a당 총생산비인 425,813원에 대비해 보면 생산비는 7.8%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배연차별로는 1년차 농가가 108,686원이었다. 2년차, 3년차 재배농가는 각각 105,953원과 105,351원으로 각각 2.5%, 3.1%가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재배경험이 많을수록 생산비가 더 절감되고 있었다.
그러나 2년차 이상 농가의 노력절감 효과가 생산비 절감 효과로 연계되지 못한 것은 재배경험이 많을수록 노력비는 14.2%까지 절감되었지만, 입모확보를 위해 종자량을 증가 시켰으며, 수량증대를 위해 시비량도 증가시켰다. 또한 밀파에 의한 병해충의 발생이 많아서 농약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결국 노력비 절감부분을 상쇄했기 때문이다.

4. 담수직파에 대한 영농의향 조사분석

벼 담수직파시 개별 농가에서 가장 어렵게 느끼는 애로요인은 입모확보 문제였으며 다음이 잡초 발생으로 나타났다. 1995년에도 도복은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1년차농가는 병해충이 4번째였지만 2∼3년차 농가에서는 3번째로 문제가 되었는데, 이는 종자량의 과다와 과비에 의해 병해충이 많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웃농가에서 재배하는 것을 보고 선택했다는 경우가 50%로 가장 많았고, 기타(24%), 지도기관 장려(18%), 토양특성 고려(8%)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직파재배 확대보급을 위해서는 기술 수준이 높은 독농가를 선정하여 지속적인 기술지도 하에 시범재배를 성공시켜야 할 것이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