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멸구 밀도와 방제효과 작성자 유재기 등록일 2001-08-16 00:00:01 조회수 3,667 |
---|
첨부 #1 벼멸구 밀도와 방제효과.pdf |
1. 벼멸구의 생태학적 특성 벼멸구는 중국 대륙 중.남부에서 증식된 집단이 1모작이 완료되는 때인 6-7월경 장마와 더불어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장시형의 성충으로 비래되어 연간 3세대 정도 경과한다. 벼멸구가 국내에 비래하여 증식하는 양상은 비래시기, 비래량에 따라 매년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주로 6-7월경에 비래하고, 6월 하순부터 7월 상순을 주 비래시기로 본다면 7월 중하순에 1차증식세대의 약.성충이 나타나고 8월 중순이후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난, 약충,성충이 혼재하여 9월 말까지 유지되며 10월 중순이후 밀도가 떨어진다. 2. 벼멸구 방제시기 및 횟수 벼멸구 밀도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7월 중순 - 8월 상순 사이에는 완만하게 늘고, 8월 중순 이후 급격히 증가한다. 특히 7월에서 8월사이는 벼의 일생중 외부의 영향에 가장 취약한 유수형성에서 출수에 이르는 생식생장기로서 벼멸구 가해가 직접 수량 감소와 연결될 뿐 아 니라, 이때의 벼멸구는 대체적으로 충태가 균일하여 벼멸구 방제의 촛점은 1세대 증식충에 모아진다. 실제 방제시기는 해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나 대개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으로 보며 이 때를 1차 방제적기라 부른다. 정확한 1차방제적기는 최다비래일부터 25일후로 계산한다. 이 시기에 방제하는 목적은 첫째, 취약시기에 벼멸구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를 줄이고 둘째, 차세대의 밀도를 억제하는데 있다. 표 1에 1차방제적기의 살충제 살포가 후기 벼멸구 밀도 및 수량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입제처리는 초기 벼멸구 밀도를 2주일 이상 억제하였으므로 후기 밀도가 제일 낮았다. 유.분제 처리는 초기 벼멸구밀도를 억제하였으나 그 기간이 짧아 후기 밀도가 크게 증가되었다. 3. 벼멸구 방제용 살충제의 종류 벼멸구방제용 살충제는 30종에 이르나 주종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인 비피엠씨와 카보후란이며 동일계통의 살충제로 엠아이피씨, 엠티엠씨, 카바릴 등이 혼합제로 사용되고 있다.카보후란을 제외한 카바메이트계 살충제는 속효성이고 성충과 약충에 효과가 있다. 반면 잔효살충력이 없어서 줄기속의 난은 방제하지 못한다.카보후란은 급성독성이 강하여 입제로만 사용되는데,입제는 농약주성분이 수중에 용출되어 벼에 흡수 되어야 효과가 있으므로 처리후 2-3일이 경과되어야 살충력을 보인다. 반면, 잔효살충력이 있어 난에서 갓 부화된 약충을 죽일 수 있다. 단, 벼에 수동적으로 흡수되므로 출수기 이후에 사용하면 효과가 떨어지며 처리후 1주일 이상 물을 대야하므로 중간낙수후 출수기까지의 시기에만 사용해야 하는 것이 단점이다. 최근에 부프로페진이라는 새로운 계통의 살충제가 보급되고 있다. 이 약제는 성충에는 효과가 없으나 약충에 효과적이며,잔효살충력이 있어 부화되는 약충도 방제가 가능하다.비피엠씨 등과의 혼합제로 제제되어 속효성과 잔효살충력이 있으며 처리시기에 구애받지 않는 이상적인 살충제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이미다클로프리드액제등은 기존약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벼멸구에 대하여 교차저항성을 보이지 않아 방제에 효과 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