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물바구미의 생태 및 예찰 작성자 윤종철 등록일 2001-08-17 00:00:11 조회수 3,541 |
---|
첨부 #1 벼물바구미의 생태 및 예찰.pdf |
가. 형태적 특징 성충은 물길이가 3㎜ 정도이며 암회색 바탕으로 등 중앙에 부정형의 큰 흑색 무늬가 있다. 더듬이는 중간 팔굽마디부터 곤봉 부분 이전까지 6마디로 되어 있으며 적갈색 바탕으로 곤봉부의 끝 ⅓을 제외하고는 털이 없어 광택이 나며 곤봉의 끝 부분만 흰색의 작은 털로 덮여 있다. 다리는 모두 4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2째,3째 마디의 굵기가 같고 4째마디는 3째마디 끝에서 부터 나와 있다. 애벌레는 다 자라면 10㎜ 안팎의 크기이고 몸은 우유빛의 흰색이고 머리는 연한 갈색이다. 다리는 모두 퇴화되었고 2-7번째 배마디 등쪽에 1개씩의 육질돌기가 있고 그 돌기 위에 1쌍의 숨구멍이 연결되어 있는 갈고리가 나와 있다. 번데기는 줄기 가까이에 있는 굵은 뿌리에 팥알 모양의 흙집을 만들어 붙여 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알은 흰색이며 원통형 으로 물속에 있는 잎집속에 낳는데 길이는 약 0.8㎜, 폭은 0.15㎜이다. 나. 분포 미국 미시시피강 상류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캐나다, 도미니카 일본 등에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1988년 7월 경남 하동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그 이후 시흥, 동해, 울주 등에서도 발생이 보고 되는 등 19개 시군에서 발생하였다. 1989년에는 양평, 남양주, 옹진, 함안, 산청, 진양 등으로 확산되어 총 35개 시군에 발생하였다. 1988년과 1989년 발생지역의 확산 방향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진행되었다. 다. 기주식물 성충기주는 그 범위가 넓어 총 11과 92종이 알려졌고 그 주요 종은 띠, 개밀, 참억새 등으로 주로 화본과, 사초과에 속하는 것들이다. 발생지에서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았던 기주는 띠, 속털개밀, 참억새, 참방동사니, 잔디이다. 유충기주는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강피, 갈대, 개피 등이다. 산란을 하는 기주는 바랭이새, 진퍼리새, 산괭이사초 등이다. 라. 생태 1) 월동 논에서는 월동을 하지않고 논에서 발생한 성충은 논 주변 산기슭으로 이동하여 월동을 한다. 제방이나 논뚝에서도 월동을 하나 그 밀도는 낮고, 낙엽, 풀포기밑에서 밀도가 높고 그리고 건조한 곳보다 습기가 많은 곳에 밀도가 높다. 땅거죽에서 1㎝ 미만에서 주로 월동을 한다. 발생지에서 월동층의 산기슭 넓이 30X30㎝ 깊이 1㎝에서의 평균밀도 는 4.7마리 이었고, 최고밀도는 110마리이었다. 2) 월동처에서 잡초가해 월동충은 4월 중순부터 잡초를 가해하고 4월말 부터 섭식량이 급격히 증가되어 5월 중순에 가장 피해가 심하다. 가해받은 잡초는 심하면 잎이 말라 죽게 된다. 3) 월동처에서 논으로 이동 잡초를 가해한 성충은 날개근육이 발달하여 비산근 폭이 160㎛이상으로 넓어지면 비산이 가능하다. 이때 부터 월동처로 부터 논으로 이동을 한다. 월동성충의 비산가능시기는 5월5일이고, 비산최성일은 5월16 - 20 일이고, 비산최종일은 7월8일 이다. 주비산시간은 18 - 19시이고 20시 이후는 전혀 비산하지 않는다. 4) 논에서의 발생 논에서의 성충 밀도는 논뚝에 인접한 곳에 높고 논 중앙에는 낮다. 논에서 알은 5월말부터 발견되고 6월 7일경 밀도가 가장 높고 점차 감소되어 7월3일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유충의 발생은 1령이 6월 7일부터 7월 13일까지, 2령이 6월 12일부터 7월 18일까지, 3령이 6월 17일부터 7월 24일까지, 4령이 6월 22일부터 8월말까지 발생하고, 번데기는 7월 3일부터 9월 9일까지발생한다. 신성충은 7월 13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8월 3일 밀도가 가장 높고 9월 2일 이후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5) 생 활 사 산란은 엽초의 표피에 1개씩 낳고, 부화직후 유충은 엽초조직을 먹고 엽초로 부터 탈출하여 뿌리로 내려간다. 성충 한마리의 산란수는 약 60 - 70 개이고 일당 산란수는 1.5 - 2.0 개이다. 벼에서 2-3 주 섭식한 후 알을 낳고 산란 최성기는 우화후 3-4주 사이이다. 난기간은 5-10일 ( 30-24℃) 이고 알의 발육영점은 15.5℃ 가 되며 유효적산온도는 70일도가 된다. 유충은 4령 까지 있다. 부화직후 1령충은 관근 내부에 침입하여 외피만 남기고 속을 가해하여 관근은 겁질만 남게 된다. 육충은 중령 이후 관근, 관모를 섭식하여 뿌리가 끊어진다. 유충에서 우화까지 발육일수는 29.3℃에서 34일, 26.7℃에서 40일, 21.8℃에서 62 일이며, 발육영점온도는 12.1℃로 유효적산온도는 586일도가 된다. 마. 예 찰 1) 월동처에서 토양내 성충밀도 조사 성충은 월동처 주변 산기슭에서 잡초나 낙엽이 쌓인 토양시료 넓이 30X30㎝, 깊이 1㎝를 채취하여 4 mesh체와 12MESH 체를 겹쳐 놓고 4 MESH 체에 시료를 담은후 좌우로 흔들어 잔 모래나 흙을 걸러 내고 위에 남은 큰 흙덩이, 자갈, 부스러기 등을 버리고 12MESH 체에 남은 시료를 범랑밧드에 얇게 펼쳐 놓고 밑에서 히터로 서서히 가열시키면 시료속에 있는 성충은 움직이게 되는데 움직이는 충을 핀셋으론 잡아낸다. 이 방법은 활동을 하지 않는 월동기에 발생예찰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지만 밀도 추정에는 군집하는 충의 습성 때문에 변이가 심한 점이 있다. 2) 식흔조사 논에 인접한 산기슭에서 주로 화본과에서 성충이 섭식 활동을 하는 4월중순 이후 할 수 있고, 논에서는 못자리나 본논 초기, 신성충은 8월 초순에 할 수 있다. 식흔의 모양은 엽맥을 따라 갉아먹어 길쭉하며 그 길이는 약 10㎜, 폭은 0.4m 가 된다. 식흔의 폭은 거의 일정하나 그 길이는 짧은것도 있고 긴 것도 있어 아주 변이가 많다. 피해 받은 부위는 초기에는 옅은 녹색, 흰색으로 되나 시일이 경과하면 구멍이 뚫어지고, 그 주변은 황갈색으로 변색된다. 벼잎벌레에 의한 식흔과 아주 유사하나 차이점은 식흔의 끝 부분이 각이 있다는 점이다. 식흔에 의한 예찰은 다른 어떠한 방법 보다도 쉽다는 점이다. 그러나 논에서 조사시 벼잎벌레 식흔가 혼동할 우려가 있다. 3) 유묘트랩 조사 성충은 어린벼에 잘 유인되므로 월동처에서 묘판을 놓으면 잘 유인된다. 쥐의 피해가 염려되는 곳에서는 쥐피해를 막기 위해 묘판위에 철망을 씌워야하고, 묘판은 물이 마르지 않도록 잘 관리 해야 한다. 유묘트랩에 벼물바구미는 아주 잘 유인되므로 밀도 추정에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지만 묘판관리 등이 불편한 점이다. 4) 포충망 조사 발생지에서 포충망으로 채집하여 밀도를 추정 할 수 있다. 월동성충의 채집은 18시에서 19시, 신성충은 19시에서 20시에 채집량이 많다. 채집시간에 따라 채집량이 크게 다르므로 채집시간을 일정하게 정해야 한다. 채집시간에 구애를 받지만 성충 밀도 추정에는 간편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5) 유아등 조사 성충의 비산은 20℃ 이상이 되어야 만 가능하므로 월동성충의 이동시기가 되는 5월중에는 야간 기온이 20℃ 이하가 되어 유아등에 유인이 거의 안된다. 그러나 신성충은 유아등에 잘 유인되어 예찰을 할 수 있다. 벼물바구미에 의한 실제 피해는 월동충에 의해 나타나므로 신성충의 발생예찰은 그 의의가 없다고 하겠다. 6) 유효적산 온도에 의한 발생 예찰 월동충의 본논 비산시기는 유효적산온도에 의하여 추정 할 수 있다. 발육영점온도 13.3℃로 하여 비산근이 160㎛ 이상으로 도달할수 있는 유효적산 온도는 약 91일도가 된다. 유효적산온도가 91일도에 도달되는 일자를 조사시기 이전까지 기온과 그 이후는 평년기온 또는 기상예보에 따라 구하면 된다. 유효적산온도는 난기간이 79일도, 유충에서 우화까지는 586일도이다. 이 방법에 의한 발생시기 예찰은 좀더 각태별 발육영점온도 등 더 검토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