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명나방의 생태와 방제 작성자 엄기백 등록일 2001-08-17 00:00:09 조회수 3,750 |
---|
첨부 #1 이화명나방의 생태와 방제.pdf |
가. 발생추이 이화명나방은 권업모범장 이후 197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해충 가운데 제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발생량이 점차 감소하였으며 1980년대 이후는 국지적으로 다발생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발생량 감소의 원인으로는 첫째, 이앙시기의 조기화로 출수 이후에 2 화기 유충이 식입하게 됨으로서 유충의 침입율이 낮아지고 발육은 부진하며, 수확시기가 빨라져 충분히 발육하지 못한 상태에서 월동으로 들어가므로 월동율이 낮아져 발생이 적어졌다는 것. 둘째, 농약의 살포는 1960년대에는 사용량이 적다가 1970년대 다수계의 보급 과 다비, 밀식을 함으로써 농약의 살포량이 증가하여 발생량이 적다는 것. 셋째, 수확의 기계화, 볏짚처리 등으로 인하여 수확시 유충사망과 과거에는 수확후에 볏짚을 쌓아 놓았으나 새마을 사업 이후에 초가지붕이 없어지고 볏짚을 가공하거나 잘게 썰어 퇴비를 만듦으로써 월동처가 적어졌기 때문에 발생이 줄었다는 견해가 있다. 발생량의 전체적인 감소추세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국지적이기는 하지만 서서히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의 발생량은 유살수 발생량으로만 볼때 2화기 이화명나방은 과거 60년대보다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벼 재배품종은 일반계에서 다수계로 80년대부터 다시 다수계에서 일반계로 바뀌었으므로 이에따라 이화명충의 발생도 변화할 것이다. 나. 생태 이화명나방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극동, 동남아세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 북부지방에서는 연 1회, 남부지방에서는 연 3회 발생을 하기도 하나 대부분의 다른 분포지역과 우리나라에서는 연 2회 발생을 하고 있다. 월동은 벼 그루터기에서 30%, 볏짚에서 70% 를 종령 유충으로 하며, 1화기 성충은 5월 중순부터 7월 상순까지 우화한다. 우화최성기는 6월 상순이며 2화기 성충은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로 우화최성기는 8월 상순이다. 월동후 우화시기는 그 지역의 환경조건(일장, 온도)과 관계가 깊다. 중부지방은 월동후 발육이 빠르며 남쪽지방으로 갈수록 발육속도는 떨어진다. 이는 각 지역에서 발생하는 이화명나방이 그 지방의 환경에 적응되어 같은 발육단계까지 소요되는 온량이 중부지방에서 발육하는 충은 적으며 반면 남쪽에서 발육하는 충은 많은 온량이 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서서히 발육함으로써 각 지방의 이앙시기와 일치할 수 있게 적응되었기 때문이다. 전남, 경남지방은 1화기 발생이 5월부터 6월까지 불규칙하게 계속되어 최성기가 확실치 않다. 우화한 성충은 10개 전후 의 난괴로 벼의 잎에 산란하고 부화한 유충은 집단적으로 엽초에 침입한다. 유충이 침입한 엽초는 황갈색으로 변하며 이를 엽초변경색이라 한다. 2-3령까지는 엽초에서 집단으로 생활을하며 3령부터는 분산하여 벼의 줄기속으로 침입한다. 줄기속으로 침입한 유충이 벼의 심부를 가해하면 전개전의 신초가 고사하게 되며 이를 심고경이라 한다. 2화기의 유충도 유령기에는 집단으로 벼의 유연한 조직에서 생활한다. 분산하여 줄기를 가해하므로 이삭이 고사되며, 출수직후의 고사는 백수라고 한다. 출수후 이삭이 여물면 백수는 되지 않으나 일부 이삭이 쭉정이가 된다. 1화기 유충에 의해서 벼는 줄기수가 감소하며 2화기 유충에 의해서는 이삭수가 감소하여 수량감소를 초래한다. 다. 예찰 방제여부,방제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예찰등에 의한 발생조사와 월동 유충의 용화조사 결과를 사용한다. 또한, 순회조사에 의한 피해상황을 파악하고 방제여부를 판단한다. 조사는 월동후의 유충밀도 조사, 월도세대 유충으 용화시기 조사, 예찰 등에 의한 성충의 발생상황 조사, 순회 조사가 있다. 이화명나방 발생시기는 과거에는 월동유충을 채집하여 25℃항온에서 개체 사육하면서 용화시기, 우화시기를 조사하고 유아등에서 50% 유살일을 조사하여 양자간의 상관관계식에 의해 추정하였다. 가온사육이 끝나는 시기가 3월 하순 - 4월 중순이므로 추정 50% 우화일을 관계식에서 구하여 방제시기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발생정도를 결정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수원지방의 경우 가온사육 융화일과 유아등 50% 유살일간에는 Y = 53.163 + 1.188525 X(r=0.7396), 50% 우화일과는 Y = 54.0283 + 0.63679 X(r=0.5224)의 관계가 있었다. 기상요인과 유아등 발아최성일간의 상관관계로 화기별 발아최성일을 추정하기도 한다. 1화기 발아 최성일을 1화기 초발아일과 2월 상순 일조지수(r=0.75) 1화기 초발아일과 4월 중, 하순 평균기온(r=0.96), 4월 중하순 + 5월 중순 평균기온(r=0.94)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2화기 발아최성일은 2화기 초발아일 및 6월 상순 최고기온(r=0.86), 7월하순 평균기온(r=0.87) 등과 관계에 의해 추정하였다. 유아등에 의한 예찰은 지역별 발생시기, 발생량의 추이를 판단할수 있으나 방제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은 되지 못한다. 방제여부는 각 필지별 피해정도에 의해 판단할 수 있으며 피해정도는 피해경율 조사로 할 수 있다. 피해경율은 1화기에는 발아최성일 후 30일과 45일, 2화기에는 발아최성일 후 25일에 20주에 대한 총경수와 피해경수를 조사한다. 경제적 피해수준은 제 1세대 엽초 변색경율 8%정도, 제 2세대는 백수율 2-3% 이지만 이것은 피해가 결정된 이후 조사되므로 방제시기의 결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피해가 나타나기 전에 난의 밀도조사를 함으로써 후에 발생하는 피해정도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나 아직 방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페로몬에 의한 성충 발생시기 조사는 페로몬이 들어있는 캡슐을 수반위에 설치하여 유인된 성충이 수반에 빠진 것을 조사한다. 수컷만이 잡히므로 발생시기 예찰에 있어 암컷과 우화시기가 다를 경우 발생최성기 추정에 가감을 하여야 한다. 방제적기의 예측은 발생형을 기본으로 한다. 예찰 등에 의한 성충의 야외에서의 발생소장 조사와 사육에 의한 조사로 발생시기, 발생량을 파악하고 재배조건, 발생정도, 사용약제, 다른 병해충 방제와의 연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화명나방은 유충시기에 분산되며, 이 시기가 방제적기로 1세대는 발아최성일후 14±2일, 2세대 유충은 발아최성일 후 5 - 7일이 방제적기가 된다. 방제여부를 결정하는데는 발생량과 피해와의 관계를 정확히 조사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라. 방제 이화명나방은 2회 발생하며 1화기 성충은 5월 중순부터 7월 상순까지 우화하나 발생최성기는 6월 상순이다. 2화기 성충은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우화최성기는 8월 상순이다. 남부지방에서는 1화기 발생이 5월부터 6월말까지 불규칙하게 계속되어 최성기가 확실치 않을 때가 많아 방제에 어려움이 있다. 방제시기는 유아등에서 발아 최성일을 조사한 다음 발아 최성일 후 14±3일째에 살포하며 충태는 2 - 3령기에 해당한다. 2화기는 발아최성기 4 - 5일 후이다. 입제는 2-3% 제제를 1화기에 3kg, 2화기에 4-5kg, 유제 10a당 80-100ℓ를, 분제는 1화기에 3kg, 2화기에 4kg을 뿌린다. 입제의 살포는 유제나 분제보다 약간 빠른시기에 살포하며, 1화기의 방제목표는 심고경을 줄이는 것이며 2화기에는 백수경을 줄이는 것이다. 등록약제는 메프, 파프, 팬치온, 그로메, 다수진 유제, 다수진 입제, 그로포 입제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