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식량작물

상세보기
장마철 대비한 병해충 방제
작성자 문 현 섭 등록일 2001-08-25 00:00:09 조회수 6,061
첨부 #1 장마철 대비한 병해충 방제.pdf

벼농사

1. 잎도열병

잎도열병 발생은 대체로 벼품종의 내병성,병원균의 밀도,거름주는 양,토양 비옥도 등과 기상 환경에 따라 지역별로 발생 정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최근에는 내병성(耐炳性)품종 및 우수한 약제의 보급,방제 기술의 향상 등으로 과거에 비해서는 줄어드는 추세에 있으나 계속 주의를 해야 할 병해충이다.

○ 도열병 분생포자는 밤에 많이 형성되며 바람에 의해 날아가서 벼잎에 앉아 물기가 있으면 싹이터서 부착기를 형성하고 벼의 세포내로 침투하여 병 무 늬를 형성한다.

○ 온도가 낮고 비가 자주 오는 여름철에는 주로 급성형병무늬가 생겨 번지는 데 1개의 병무늬에서 하룻밤 사이에도 2천∼2만개 정도의 도열병포자가 생겨 급속히 번지게 된다.

○ 병에 걸렸던 못자리의 모나비료를 너무 많이 주었거나 너무 배게 모내기한 논과 메워 심기용 모춤이 많이 남아있는 논에서 일찍 발병하기 쉽고, 또한 1모작으로 적기에 모를 낸 논에서 1차가지거름을 시용한 후 5-15일간은 잎도열병에 잘 걸릴 수 있는 체질기간이 된다.

□ 방제요령

○ 모를 심고 남은 모춤은 메워 심기가 끝나는 대로 땅에 묻거나 햇볕에 말린 다.

○ 가지거름은 벼품종,논의 성질 등을 감안하여 알맞게 주며,채소 뒷그루등으 로 늦심기를 할 때는 질소거름을 20∼30%줄여 주도록 한다.

○ 대체적으로 유제,액제,수화제,분제 등으로 2회로 나누어 방제 하는데, 1차 는 6월하순-7월상순에 하고,2차는 7월중순에 하며,6월 20일 이후 늦심기 한 논에서는 7월상순-중순에 1차,7월하순에 2차방제를 실시토록 한다.

○ 도열병 발생 상습지나 병에 약한 품종을 재배한 곳에서는 장마가 시작되기 전(6월하순)에 침투 이행성 입제나 수화제를 뿌려서 약기운이 벼잎 조직 에 퍼진 다음에 장마를 맞도록 한다.

2. 이화명나방 1화기

1년에 2회 발생하는데 애벌레가 볏짚이나 벼 그루터기 속에서 겨울을 보낸 후 4 월부터 번데기로 변했다가 1화기 어른 벌레가 되는데,대체로 1화기 나방이 가장 많이 나오는 시기는 6월상.중순경이다.

○ 1화기 피해는 알에서 깬 애벌레가 잎살을 갉아먹다가 벼줄기내로 들어가 면 벼의 잎과 줄기가 갈색으로 변하고 속잎의 색깔이 변해 말라 죽는다.

○ '60년대에 극성을 부리던 해충이 '70년대 들어서 피해가 줄어든것은 2화 기 유충기간인 8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의 환경이 해충 생존에 불리하여 1 화기 발생량이 줄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방제요령

○ 1화기 어른벌레의 발생 최성기는 6월상.중순경인데 해에 따라 약간의 차이 가 있으므로 농작물 병해충 발생 정보에 따라 적기방제토록 하며,지역별로 발생되는 벼잎벌레,굴파리류나 바이러스매개충 및 벼물바구미와 동시 방제 를 실시하도록 한다.

이때 유의할 살충제 입제는 유제.수화제 보다 3∼5일전에 뿌려주고 논물 을 3㎝정도 유지해 주어야 한다.

소득작목

1. 고추 역병(돌림병)

가지과작물의 병해중 가장중요한 병해로서 일단 발생하면 급격하게 퍼져서 큰 피해를 초래한다.

이 병은 토양전염성으로 약제방제의 효율이 낮아 방제하기가 어려우며 작물에 따라서는 이어짓기 장해의 주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주로 장마 이후에 급격히 발생하여 만연한다.

○ 병증세는 어린모에 발생하면 땅가부근이 암갈색으로 잘록해지며 큰 고추나 무에서는 땅가부근의 줄기부터 삥돌아가면서 썩고 점차 윗부분으로 진전 하여 병든 포기 전체가 시든다.

또한 잎,가지,열매에도 발생하여 물에 데친 모양으로 썩으면서 병무늬에 회백색의 곰팡이가 발생한다.

○ 병원균은 주로 물속에서 생활하는 수중균(水中菌)의 일종으로 분생포자,유 주자.난포자를 만들고 유주자는 물과 함께 이동하여 식물체에 침입한다.

○ 우리 나라에서 이 역병(돌림병)이 많이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로 기 주식물(고추 등)의 계속적이 이어짓기,둘째 물빠짐이 나쁜 밭이나 질참 흙에서 재배,셋째 퇴비 등 유기질 비료의 부족,넷째 토양의 산성화,다섯째 재배기간중의 장마 등을 들 수 있다.

□ 방제요령

○ 품종에 따라 발병에 차이를 보이므로 저항성품종을 재배한다.

○ 병원균이 물을 통하여 전염하므로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 재배하거나 이랑 을 높게하는 등의 물빼기 관리에 유의한다.

○ 고추역병 방제 약제로는 파모액제(프리엔),메타실동수화제(리도밀동), 쿠퍼 수화제(코사이드), 알리펫수화제(미칼), 옥사딕실.타로닐수화제(앙콜,크린 힛), 옥사프로수화제(산도판에이), 메타실디치수화제(리도밀큐), 옥사딕실·타로닐·할로스린수화제(파숫군), 디메쏘모르프·만코지수화제(포룸만)등이 등록되어 있다.

2. 사과 점무늬낙엽병

잎,가지,과실 등에 발병하며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발생이 심하다. 처음에는 작은 갈색의 둥근 병무늬가 형성되며 차츰 부정형이 된다.

○ 나무가지 피해낙엽 등에서 균사나 포자로 월동하며,5월중순경 부터 병증 세가 나타나 6월중순이후 장마기에 집중 감염되는데 26℃내외에 습도가 높을 때 발생이 심하다.

□ 방제요령

○ 월동장소가 되는 병든 낙엽이나 가지는 철저히 긁어모아 태운다.

○ 병이 보이기 시작하는 5월 하순부터 적용약제로 주기적인 방제를하되 특히 비오기 전후에 중점방제한다.

○ 방제 약제로는 포리옥신수화제, 옥시동수화제, 이프로수화제(로브랄), 포리동수화제, 포리캡탄수화제, 요네탄수화제, 카프로수화제(로브동), 치람수화제(쓸미내), 부탄엠수화제(시스텐-엠), 비타놀.프로피수화제(바이코에이), 타로닐수화제(다코닐), 만코지수화제(다이센엠-45), 홀펫수화제(폴판), 프로피수화제(안트라콜), 만프로수화제(다이렉스), 스팟트수화제, 캡탄수화제(오소싸이드), 포스만수화제(로닥스), 펜코디수화제(돈나디), 이프로.캡탄수화제(약손프론티아), 포세칠알.캡탄수화제(알리에테씨), 가벤다.이프로수화제(새미나), 이프로.지오판수화제, 타로만수화제(아라리), 이미녹타딘트리아세데이트액제(베푸란, 금박사), 타로닐.프로피수화제(돌풍), 누리만수화제(트리달엠).리프졸수화제(트리후민), 디페노코나졸수화제(푸르겐), 카펜수화제(새론), 부코나졸·치람수화제(세이브), 디치수화제(델란), 이미벤코나졸·치람수화제(확시란티) 등이 등록되어 있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