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화훼

상세보기
절화장미의 병해방제 대책
작성자 김 원 희 등록일 2001-08-08 00:00:11 조회수 6,413
첨부 #1 절화장미의 병해방제 대책.pdf

1. 노균병

노균병은 색물체의 기공으로 침입하고 침입한 균사는 세포간극이나 세포막의 중간층에 주로 존재하고, 흡기를 기주세포안으로 삽입하여 양분을 취한다. 이 병은 시설재배에서 봄, 가을에 난방을 중지하거나 시작하기 직전에 발생이 많으며 흰가루병에 비해 온도가 낮고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주야간의 온도격차가 크고 야간에 안개가 끼거나 이슬이 맺힐 정도의 높은 습도일 때 발병이 매우 잘 되며 통기불량, 밀식, 질소과다시 그 피해는 더 크다.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까지 많이 발생한다.

완전히 전개된 어린잎에 주로 발생하며 병든잎의 표면은 불규칙한 수침상의 자색 또는 연한 황갈색으로 된다. 병반부의 뒷면에는 회백색의 곰팡이를 드문드문 볼수 있다. 병든 잎은 심하면 모두 낙엽되고 줄기에도 자주색 또는 갈색의 무늬가 생기고 새싹에 발생하면 시들고 꽃봉오리의 꽃받침에도 같은 병반이 생긴다.

2. 흰가루병(白粉病)

흰가루병에 이병된 가지나 잎눈에서 월동한 균사체나 자낭각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활동하기 시작하여 새눈, 새잎에 침입하고 분생포자를 많이 만들어 제1차 전염원이 된다. 온도와 습도가 적당하면 분생포자는 발아하여 식물체의 표피층을 뚫고 들어가 세포내에 습기를 만들어 영양분을 취하면서 번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생포자는 바람에 의해 전염을 반복하며, 번식에 부적합한 환경이 되면 균사체 상태로 외기의 영향이 적은 숨은눈(입눈)등에 들어가 월동한다.

발병적온은 17-25℃이며, 습도는 23-99%로 그 범위가 상당히 넓어서 습기가 많은 곳과 건조한 곳에서도 피해가 큰 병이다. 따라서 온도가 낮고(15-16℃) 높은 습도 (90-99%) 상태인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의 고온(23-27℃)과 저습도(40-70%)하에서 분생포자가 성숙하여 비산하므로 급속히 번져 나갈 수 있다.

3. 가지마름병(枝枯病)

주로 가지에 발생하는데 처음에는 자갈색 둥근 점무늬가 생기고 차츰 커져서 그 중심부가 회갈색으로 약간 옴폭하고 그 주위가 자갈색으로 약간 복록한 반점이 그게 생긴다. 그 후 병반에는 표피가 터지고 표면에 검고 작은 입자가 생긴다. 심하면 병반이 줄기를 둘러싸므로 상부가 말라죽게 된다.

병든 부분에 생긴 검고 작은 입자는 월동이 가능한 병자각이다. 월동 후 병자각에 들어있는 병포자가 튀어나와 비산하여 2차 감염원이 된다. 이 병포자는 주로 상처부위로 침입하나 표피내로 직접 침입할 수도 있다. 장미 생육초기인 봄에 비바람에 의해 운반된 병포자가 접목부위나 전정한 부위, 동해나 풍해 부위, 기타 기계적인 상처부위로 침입한다. 전정시 가위를 통해 이병되기도 한다.

4. 잿빛곰팡이병

주로 잎,가지, 꽃잎에 발생하는데 잎의 가장자리나 선단부가 데친 것 같은 변색된 병반이 생기고, 그 부분은 오그라들며, 오래 되면 잿빛곰팡이가 생긴다. 어린가지나 신초에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개화전 꽃봉오리나 꽃잎에 발생하면 연한 갈색 병반이 생기고 심하면 전체가 갈변하여 죽고 그 부위에 잿빛곰팡이가 많이 발생한다.

병반부에 남아서 균사나 균핵으로 월동하며 이듬해 발아하여 많은 분생포자가 생기며 이들이 비산하여 전염원이 된다. 이 병원균은 기주식물이 많으므로 쉽게 주변으로부터 전염될 수 있다. 특히 다습한 환경에서 번식이 왕성하다. 삽목상이나 접목상에 비닐피복하거나 환기가 나쁜 비닐하우스내나 밀식할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노지재배에서는 장마기에 피해가 크다.

5. 검은별무늬병(黑星病)

주로 노지장미에서 잎, 잎자루, 줄기에 발생한다. 잎에는 자갈색의 작은 얼룩반점이 생기다가 차츰 그 병반이 커지고 흑갈색으로 변한다. 그후 병반주위는 황색으로 되고 병반 안쪽에는 검고 작은 일모양이 많이 생긴다. 병반은 물방울이 고이기 쉬운 부분의 잎에 주로 발생한다. 잎자루에도 같은 피해가 발생하며 쉽게 낙엽된다. 가지에 발병하면 비슷한 증상이 생기며 심하면 말라 죽는다.꽃봉오리나 꽃받침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 병원균은 장미속 식물에만 기생하며 주로 표피세포층으로 침입한다. 병든 부분에 생긴 검은 알모양은 월동이 가능한 병자각이며 이 속에 있는 병포자는 20℃전후의 온도에서 잎에 물방울이 있으면 6-7시간내에 조직내에 침입하여 3-6일이면 발병한다. 그러므로 물방을이 고이기 쉬운 잎의 주맥을 따라 병반이 주로 생긴다. 노지에서는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주로 발생하지만 시설내의 절화재배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6. 근두암종병 (根頭癌種炳)

이 병원세균은 기주범위가 넓고 주로 병반부나 토양중에 생존하며 상처부위를 통해 조직내에 들어가 혹을 만든다. 일단 혹이 발생한 뿌리는 병원세균의 존재와 관계없이 주변세포 자신이 계속 커져서 혹을 크게 하고 전이하여 제2차 혹을 만든다. 전정이나 접목등에 사용한 도구에 묻어 있는 병원세균에 의해 전염하는 경우도 많으며 이를 접촉전염이라 한다.

지면부나 큰 뿌리에 주로 발생하나 지상부의 줄기에도 간혹 생긴다. 병든 부분은 약간 흰색으로 조금 비대해지다가 그 후에 혹모양으로 굵어지며 나중에 표면이 딱딱한 모양을 한 암갈색의 혹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병든 포기는 황변하고 생육이 느리며, 새로운 잎이나 꽃이 잘 형성되지 않는등 지상부의 생육이 불량하고 점차 쇠약하여 말라죽게 된다. 뿌리혹선충의 피해는 어리고 가는 뿌리에 작은 혹이 생기기 때문에 근두암종병과 쉽게 구분이 된다.

7. 부란병(府欄病)

주로 줄기, 잎, 꽃에 발생한다. 줄기에는 처음에 진한 갈색이나 붉은 자주색의 반점이 나타나지만 병반이 커짐에 따라 색깔이 짙어지고 중심부는 표면에 작은 알맹이가 생긴다. 병반부가 움푹 들어가지는 않는다. 잎에는 처음에 자주색 점무늬가 생기지만 나중에 잿빛이나 진한 갈색이 되고 중심부에 검은 알맹이가 생긴다. 꽃잎에는 어두운 갈색 점무늬가 생기고 꽃 전체에 퍼진다. 병든 가지의 상부는 말라 죽기도 하며 잎은 잎은 낙엽되고 꽃은 일찍 썩는다.

이 병원균은 바람에 의해 전염된다. 바람에 의해 운반된 포자들은 주로 상처부위를 통하여 침입하지만 직접 침입하기도 한다. 수관의 세력이 약해지면 발병하기 쉽다.

병든 부분은 발견 즉시 잘라서 소각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전정은 반드시 맑은 날 건조한 상태에서 하고 전정후에도 자른 부위가 건조하게 관리한다. 병든 줄기를 자른 가위 등은 뜨거운 물이나 포르말린액(250배)에 소독한다. 겨울 휴면기에는 병든 가지를 제거하고 석회유황합제 원액을 발라준다. 생육중에는 다이젠엠45나 다코닐을 이용(외국에서는 500-600배액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사과의 부란병을 참조한다.

8. 역병

역병의 첫병징은 어린가지의 윗부분에 있는 잎이 위조되고 가지 아랫부분의 잎은 황화된다. 며칠 후에는 영구적인 위조가 일어나고 잎들이 황화되고 마침내 갈색으로 되어 말라죽는다. 가지의 기부로부터 낙엽되다가 위로 올라간다. 암면 양액재배시 뿌리가 습하고 저온일때 역병이 걸릴 수 있는 이상적인 조건이다.

토양으로 전염하는 병이므로 정식전에 토양소독을 하고 병이 걸렸을 경우에는 리도밀 입제를 토양에 혼용하고 리도밀동을 살포해준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