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육성경위
1993년 작물시험장 수도육종연구진에 의해 육성된 품종이며 자포니카인 설악벼에 고시히까리를 교배한 F1에 삼남벼를 1983년에 인공교배하여, 계통선발과 함께 내병충성, 내냉성, 미질등 여러특성들을 검정하고, 생산력 검정시험, 지역적응 시험을 거치고 1994년에 직파재배로 지역적응 및 농가실증시험을 거쳐서 1995년 주요작물 종자협의회에서 직파재배용 장려품종으로 지정되었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나. 일반생육 특성 및 수량특성
다. 병충해, 생리장해 저항성 및 미질관련 특성
라. 수량성 및 직파적응성
3.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주안벼는 중부 및 중남부 평야지 건답직파 또는 담수직파 재배에 알맞는 중생종이다.
병충해에 약하므로 상습발생지에는 재배를 피하고 적기방제를 해야함
질소과용시 병충해발생이 우려되고 미질이 떨어질 수 있으니 균형시비에 힘쓸 것
1993년 작물시험장 수도육종연구진에 의해 육성된 품종이며 자포니카인 설악벼에 고시히까리를 교배한 F1에 삼남벼를 1983년에 인공교배하여, 계통선발과 함께 내병충성, 내냉성, 미질등 여러특성들을 검정하고, 생산력 검정시험, 지역적응 시험을 거치고 1994년에 직파재배로 지역적응 및 농가실증시험을 거쳐서 1995년 주요작물 종자협의회에서 직파재배용 장려품종으로 지정되었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나. 일반생육 특성 및 수량특성
다. 병충해, 생리장해 저항성 및 미질관련 특성
라. 수량성 및 직파적응성
3. 적응지역 및 재배상의 유의점
주안벼는 중부 및 중남부 평야지 건답직파 또는 담수직파 재배에 알맞는 중생종이다.
병충해에 약하므로 상습발생지에는 재배를 피하고 적기방제를 해야함
질소과용시 병충해발생이 우려되고 미질이 떨어질 수 있으니 균형시비에 힘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