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영농상담

[답변]신품종세또미 게시물 상세보기
[답변]신품종세또미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답변]신품종세또미
작성자 이ㅇㅇ 작성일 2011-07-27 10:46:08
조회 1,690 회 상태 답변불필요
담당부서 담당 부서가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저희 서부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는 세토미와 한라봉과의 평당수량 비교에 대한 질의를 하셨는데 대부분의 만감류는 시설재배를 기준으로 했을 때 평당 10kg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다만 품종별 과중과 생산 수량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만감류 재배시 엽과비 관리 및 만감류 품종별 과중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세토미의 엽과비는 80~100:1 정도로서 감평 등 만감류와 비슷하게 관리해야 하는 반면,

한라봉의 엽과비는 100:1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개당 과중은 세토미 180~200g, 세토까 220~250g, 한라봉 280g 정도 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세토미를 비롯한 만감류는 개화량에 비해 많은 열매 착과가 가능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착과 또는 소과 위주로 결실하는 것은 이듬해 격년결과로 해거리를 조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만감류를 온주밀감에 처럼 소과위주로 결실하는 것은 이듬해 격년결과로 해거리를 조장하기 때문에 매년 안정착화()를 위하여 조기에 적정 열매따기를 필수적으로 실천해야합니다.

참고로 세토미는 야마구치현 오오시마 (山口縣大島)감귤시험장에 의해 1981년에 종자친을 청견’, 화분친을 길포폰칸으로 교배하여 육성된 품종으로 특성으로는 열매가 달리기 전에는 수세는 약간 강하나, 결실 후는 중간쯤 되고, 나무는 직립성과 개장성의 중간입니다.

새순(枝梢,가지,)의 크기와 길이는 중간정도이며 발생밀도는 약간 조밀 하고 가지와 가지사이는 약간 조밀하고 깁니다. 그리고 잎은 청견과 유사하여 엽선이 물결모양이며 형태는 방추형이며 가시는 강한 여름-가을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과실이 착과되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발아기는 4월 상순중순으로 온주밀감과 거의 비슷하며 개화기는 5월중순하순으로 온주밀감에 비해 늦고, 종화기는 늦으나 꽃은 많으며 과실비대는 710월까지는 왕성하고 11월에 들어서면 완만해지며, 12월 이후 부터 비대량이 적어지면서 수확기까지는 거의 정지됩니다.

과실무게는 180~200g이며 과형지수는 130전후로 편구형 과실입니다. 과피는 진한주황색이고, 과면은 비교적 거친 것이 특징이며 과피두께는 4mm내외이고 과육율은 7075%이고, 폰칸종류에 비해 두껍고 껍질 벗기기가 비교적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착색은 10월하순부터 시작되고 완전착색은 12월하순1월상순이나 정상착과인 경우에는 완전착색이 되지만 착과량이 적거나 초년결실기에는 착과가 늦거나 불량한 경우도 있습니다.

재배는 한라봉이나 하루미와 비슷하나, 폰칸처럼 세근량은 적고 과건조시에는 산함량이 높아져 품질이 불량해지고 수확이 지연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므로 여름-가을의 관수를 통한 산함량감소는 물론 토양에 유기물을 시용하여 토양의 물리적 개량이 필수적이라 하겠습니다.

거듭 저희 농업기술센터 방문에 감사드리며 더 궁금한 사항은 원예작물과(760-7962)로 문의하시면 성심껏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평가 하기

로그인 후 답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