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영농상담

[답변]제주가 무화과 재배적지인지 궁금합니다 게시물 상세보기
[답변]제주가 무화과 재배적지인지 궁금합니다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답변]제주가 무화과 재배적지인지 궁금합니다
작성자 이ㅇㅇ 작성일 2012-03-02 23:09:47
조회 1,671 회 상태 답변불필요
담당부서 담당 부서가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저희 서부 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셔서 감사드리며 선생님께서 문의하신 ‘제주가 무화과 재배적지인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 나라에서의 무화과는 겨울철의 낮은 온도에 생육의 제한과 동해(凍害)를 입기 쉬워 재배지역의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재배주산지인 영암의 삼호면을 비롯한 목포, 신안군의 도서지역, 해남반도, 고흥, 여천, 충무, 김해, 부산지역 등지와 제주, 남해안 도서지역 등이 안전지대로 보아집니다. 그 이외의 지역에서의 무화과 재배는 비가림 재배, 턴넬 재배, 동기의 피복재배 등 재배적 뒷받침이 없이는 경제적인 재배가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이처럼 무화과는 재배지역의 안정성이 제한을 받는 국지성 과수로 생산과잉이 우려가 없고, 또한 생과 수입이 어렵고, 타 과실에 비해 맛이 부드럽고 당도도 높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과피가 얇고 연약하여 상온에서 1∼2일, 저온에서 3∼4일 정도밖에 보존이 안되어 가능유통기간이 짧아 온 국민이 이용하는 국민과수로 자리 잡지 못하는 취약성도 갖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중해 연안국이나 유럽, 미국 등 무화과 주요산지는 대다수 건과 중심으로 나무에 달린 채 완숙되고 수분이 적은 상태에서 곶감 형태로 수확하여 보관, 수송, 저장 유통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에는 수확기에 많은 강우로 인하여 건과를 만들기에 부적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주에서의 무화과는 재배 적지이기는 하나 이를 떠나 생산 후 판로 대책 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또한 선생님께서는 ‘제주광관객을 위한 특별한 상품’으로 무화과를 생각하시는데 글쎄 저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유통기한이 짧아 선물용으로 하기에는 부적당하다는 것과 특히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은 제주에서만이 생산되는 농특산물을 선물용으로 선호하는 경향(감귤, 한라봉, 옥돔 등)이 있어 이를 극복하여 무화과가 제주 관광객 선물용 과일로 성장하는 데에는 시간과 나름데로의 또다른 판매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저희 서부농업기술센터를 방문하시거나 전화로 문의하시면 자세히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문의처는 서부농업기술센터 원예작물과 과수특작담당(760-7961, 7962)입니다.

답변 평가 하기

로그인 후 답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