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영농상담

묘목 재배 기술 문의 게시물 상세보기
묘목 재배 기술 문의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묘목 재배 기술 문의
작성자 홍ㅇㅇ 작성일 2020-05-12 10:09:56
조회 2,033 회 상태 완료
담당부서 담당 부서가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2019년 3월 무화과 나무를 식재하여 2년차 재배를 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재배관련 문의를 드립니다.

 

1. 무화과에 적합한 퇴비 종류와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곳, 퇴비주는 시기 및 횟수

2. 적합한 비료의 종류와 비료 살포 시기와 횟수

3. 수확후 판매루트

4. 무화과와 관련 전화상담가능 여부와 담당하시는 분 정보를 받을 수 있는지?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미 처리가 시작되었으므로 수정/삭제 하실 수 없습니다.
묘목 재배 기술 문의 게시물의 답변 목록
작성자 서부농업기술센터 답변일 2020-05-15
담당부서 연락처

 

   서부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선생님께서 질의해주신 무화과 재배 관련하여 문의하신 부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회신하여 드립니다.

1. 퇴비는 매년 12월 중에 한 번에 뿌려주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는 양은 성목기준 1,000 ~ 1,500kg/10a입니다.

퇴비 구입할 수 있는 곳은 가까운 지역 농협이나 유기질 퇴비 판매업체가 많으니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수령별 표준시비량                                                                (단위: kg/10a)

시비

수령(년)

밑거름(봄비료)

웃거름(여름비료)

합계

질소

인산

칼륨

질소

인산

칼륨

질소

인산

칼륨

2

1.8

1.2

0.6

0.8

0

1.4

2.6

1.2

2.0

4

3.6

2.3

1.3

1.6

0

2.8

5.2

2.3

4.1

6

5.5

3.5

1.9

2.3

0

4.3

7.8

3.5

6.1

8

7.3

4.6

2.5

3.1

0

5.7

10.4

4.6

8.2

10년 이상

9.1

5.8

3.1

3.9

0

7.1

13.0

5.8

10.2

○ 밑거름(봄비료)은 일반적으로 낙엽 직후인 12월부터 다음해 2월 사이에 주며 일반적인 과일나무와 다르게 무화과는 연중생산이 가능한 결과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질소 비료의 효과가 장기간 지속 되는 것이 좋은 지효성인 유기질 비료를 살포합니다.

유기질 비료는 종류가 많아 비료의 종류에 얽매이지 않고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유기질비료를 사용하시면 되며 적정한 시비량은 이론적인 계산식에 의해 결정하시면 됩니다.

       (예시) 시비량 산정

         - 주고자 하는 성분량 × 100 ÷ 주려고 하는 비료의 성분 함량

         - 예를들어 8(질소)-7(인산)-6(칼리) 유기질 비료를 이용하여 봄비료를 시용하고자 할 때,

          ⦁ 주고자 하는 성분량(질소 기준) : 1.8(무화과 2년생)

          ⦁ 주려고하는 비료의 성분 함량(질소 기준) : 8

          ⦁ 시비량 계산식 : 1.8 × 100 ÷ 8 = 22.5kg/10a

        - 요약: 2년생 무화과나무 밑거름으로 8-7-6 유기질비료 선택 시 10a당 22.5kg 토양 전면 살포

○ 여름비료는 2회를 나누어 7월 상순과 8월 하순에 나누어서 속효성 화학비료를 살포하면 되며 시비량은 앞에 설명한 시비량을 참조하여 주시면 됩니다.

○ 요약을 하면 10a당 질소비료 기준 시 밑거름(봄비료)으로 70%, 웃거름(여름비료)으로 30%를 주되 여름 비료는 2회 나누어 7월 상순과 8월 하순 각각 15%씩 같은 양으로 살포합니다.

○ 무화과는 석회요구량이 많고 알칼리성 식품으로 질소-인산-칼리 3요소 비료 외에 칼슘요구도가 높아 매년 고토석회 비료를 성목기준 10a당 75 ~ 100kg를 12월 중 과원전면에 고르게 살포합니다.

 

3. 무화과 과실의 선도 저하가 빨라 저장성이 낮고 수송성이 나빠 수확 후 판매를 도내 하나로 마트나 개인직판으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으로 재배농가 개인이 직접 판로 확보를 하여야 합니다.

4. 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기술보급과 기술보급팀장(760-7951)에게 전화주시면 성실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5. 우리 서부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다시 한 번 환영하며, 앞으로도 질문(요청)이 있다면 언제든 제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 평가 하기

로그인 후 답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