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영농상담

묘종 해충? 병? 알? 게시물 상세보기
묘종 해충? 병? 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묘종 해충? 병? 알?
작성자 이ㅇㅇ 작성일 2020-09-11 16:34:32
조회 1,540 회 상태 완료
담당부서 담당 부서가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사진1 묘종이 시들어가는 부분 사진 사진2,3 알같은 물질의 사진 사진4 정상묘종의 사진 사진에 보이는 브로콜리 묘종판에 부분적으로 병에 걸린것처럼 시들어가는 묘종들이 있습니다. 파종후 약 25일 이후부터 차츰 발생하여 점점 번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오늘 그묘종을 뽑아서 살펴보니. 뿌리 부분의 끝에 알같은 작고 하얀 물질을 발견했습니다. 이것이 이름모를 해충의 알인지. 아니라면 대체 무엇인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작년에도 브로콜링와 적채 콜라비 에 이와같은 현상이 생겨 피해를 보았었습느다 일전의 벼룩잎벌레는 더이상의 피해없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묘종 해충? 병? 알?
묘종 해충? 병? 알?
묘종 해충? 병? 알?
묘종 해충? 병? 알?
첨부 #1 20200911_162739.jpg
첨부 #2 20200911_162722.jpg
첨부 #3 20200911_162659.jpg
첨부 #4 20200911_085319.jpg
이미 처리가 시작되었으므로 수정/삭제 하실 수 없습니다.
묘종 해충? 병? 알? 게시물의 답변 목록
작성자 서부농업기술센터 답변일 2020-09-15
담당부서 연락처

    

     ○  서부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  첨부해주신 네가지 사진으로 판단해보았을 때, 우선 사진 1 은 묘종에 ‘검은썩음병’ 혹은 십자화과에 발병하는 세균성 병 중

         하나의 증상으로 판단됩니다.

         사진 2, 3, 4 번의 경우에는 사진 상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며, 부화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과 뿌리를 가해한 흔적이

         없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해충의 알 보다는 상토에 함유되어있는 펄라이트와 같은 어떠한 부수물이 아닐지 확인바랍니다.

        사진1에 나타난 세균성 병의 경우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병하게 되며 물을 통해 식물체 내 상처로 침입하여 감염시킵니다.

        또한 무름병도 같이 발병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우선 심하게 발병된 트레이의 경우 정상적인 트레이와 분리 후 관리하시고, 재배하시는 작목에 해당하는

        살균제를 살포 바랍니다.

        환기가 잘 이뤄지는 장소에서 육묘하시고 습하지 않도록 관리 바랍니다.

     ○ 자세한 사항은 서부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760-7944)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홈페이지 방문을 다시 한 번 환영하며, 앞으로도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 제안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평가 하기

로그인 후 답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