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두릅 재배 문의 게시물 상세보기 | |||
---|---|---|---|
제목 | 땅두릅 재배 문의 | ||
작성자 | 조ㅇㅇ | 작성일 | 2025-06-24 17:06:39 |
조회 | 34 회 | 상태 | 완료 |
담당부서 | 담당 부서가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 ||
안녕하세요! 저는 퇴직후 농업인(농업경영체 등록, 정식 농업인입니다)이 되어 조금씩 농사를 짓고 있습니다만, 농약을 치지 않는 농사에 관심이 많아, 유기농업 작물을 본격적으로 찾고 있습니다. 농약을 치지 않더라도 재배하기가 수월하다는 땅두릅을 약 1,000평 정도의 땅에 재배하면 어떨까 고민 중에 있습니다. 그래서 정보를 찾던 중, 2010년에 제주의 소리에 의하면, 안덕면 서광리에서 땅두릅 재배를 한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당시 서부농업기술센터에서 이에 대한 지원을 한다고도 보도되었습니다. 그래서 문의 드립니다. 오래전 일이라, 현재도 안덕 서광리에서 땅두릅 재배가 계속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땅두릅 재배와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직접 방문하여 상의드리고 싶습니다. 서부농업기술센터에서 상담이 가능하면, 센터로도 직접 방문하고 싶군요. 제가 가진 땅도 안덕면 상창리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땅두릅 재배 문의 게시물의 답변 목록 | |||
---|---|---|---|
작성자 | 서부농업기술센터 | 답변일 | 2025-06-26 |
담당부서 | 연락처 | ||
○ 저희 서부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를 찾아주셔서 고맙습니다.
○ 쌉쌀한 맛과 향긋한 향의 두릅은 대표적인 봄나물로 피로 해소와 면역력 증진, 항산화 작용 등 기능성채소로서 한때 제주에서 일부 농가에서 두릅 재배를 시도한 바 있으나 소득작물로 정착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두릅은 봄나물로 재배방법에 따라 노지재배와 시설재배로 구분 할 수 있는데, 노지에서 키운 두릅나무의 어린 순은 3∼4월에 수확할 수 있으며 재배 환경 조절이 어려운 조건에서는 생산 가능한 기간이 짧은 단점과 함께 어린 순을 생산해야 하는 두릅재배의 특성상 외부 기상 환경에 피해가 많으므로 비바람이 많은 제주에서는의 노지재배는 안정적인 재배가 어려운 여건입니다.
○ 안정적인 두릅재배를 하기 위해서는 시설재배가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리며 특히 2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9∼10회 수확으로 소득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시설하우스에서 가온 시설을 갖춘 축성재배를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판로의 문제입니다. 두릅과 같은 기능성 채소는 소비계층이 두텁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경제가 침체되었을 때 소비도 위축되는 단점이 있어 판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상태에서 재배를 시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 추가 문의는 특화작목육성팀(064-760-7921)으로 전화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