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특용작물

상세보기
느타리 바이러스병 방제
작성자 고 승 주 등록일 2001-07-30 00:00:08 조회수 5,425
첨부 #1 느타리버섯 바이러스병 방제.pdf

1. 병징

느타리버섯 바이러스병은 원형이나 간형의 바이러스 입자의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며 그 병징은 재배 방법이나 환경, 계통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느타리버섯이 건전하게 생장할 경우에는 병징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어 재배자가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혼돈 하는 경우가 많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느타리버섯은 대체로 균사생장이 부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균사생장이 부진한 만큼 잡균의 발생이 심하게 된다. 버섯 발생 시에도 정상적인 경우와 달리 덩이버섯 출현이 많으며 버섯 발생이 너무 많아 정상적인 생장이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재배사내의 온도가 상승하면 자연 치유된 자실체는 대가 길며 분지가 많이 발생하며 갓은 깔대기 모양으로 펴지며 대에 비하여 대체로 직경이 적다. 느타리버섯 바이러스병에 의한 수량 감소는 10-30% 내외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갓은 세균성 갈변병의 감염이 많으며 피해 또한 심각하다

2. 발병조건

느타리버섯 바이러스는 이병된 균사체와 이병 포자가 건전 균주와 균사융합으로 감염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느타리버섯은 불량 환경시에 뚜렷하게 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재배자는 느타리버섯 재배의 불량 환경시 나타나는 증상과 혼돈하는 경우가 많다. 불량 환경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환기 부족시 대의 길이가 길거나 갓이 적으며 많이 사멸되는 증상과 과습시 버섯의 발이수가 많은 경우이다. 그러나 아무리 환기 불량시라도 대에 가지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바이러스의 감염과는 구별할 수 있다. 느타리버섯의 바이러스병은 저온이나 고온에서 느타리버섯이 연약하게 생장할 때 발생이 잘되며 적온에서는 느타리버섯이 왕성하게 생장하므로 증상이 미미한 경우도 있다.

3. 느타리버섯 바이러스병의 진단

느타리버섯 바이러스병의 진단은 현미경에 의한 바이러스 입자의 직접 관찰, 항체의 이용 및 바이러스의 핵산을 분석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러나 느타리버섯 바이러스의 현미경적 관찰은 일반 광학현미경은 입자의 관찰이 불가능 하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실제 적용이 곤란하다. 항체를 이용하는 방법도 아직 확립되어 있지 못하다. 느타리버섯의 바이러스는 ds RNA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을 분석하여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검정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핵산을 증폭하는 중합기(Polymerase Chain Reaction : PCR)를 이용하여 느타리버섯 바이러스 이병 여부를 검정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느타리버섯 바이러스는 식물 바이러스와는 달리 지표식물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지표식물의 이용은 곤란하다.

4. 방제법

느타리버섯의 바이러스병은 뚜렷한 방제약제가 없다. 느타리버섯의 바이러스 이병은 전회 재배시에 남아 있던 폐상퇴비가 혼입되거나 재배사내에 포자가 종균 재식시 혹은 발이시에 오염되어 발생하게 되므로 재배사내의 청결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재배사내의 바닥이 흙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시멘트 등으로 개량하여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으나 여의치 못할 경우는 석회 등을 충분히 뿌려 땅을 굳게 하여 포자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느타리버섯의 바이러스병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이러스에 저항성이 있는 종균이나 감염되어 있지 않은 순수한 종균만을 재식하는 것이다. 그러나 저항성 계통이 아직 없고 순수한 종균을 재식한 경우라도 오염의 기회는 있으므로 예방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안된다.
폐상퇴비는 조기에 처리하고 폐상퇴비로 부터 포자의 비산을 막기 위하여 폐상퇴비는 비닐 등으로 완전히 피복하여 둔다. 푸른곰팡이는 그 자체도 병원성이 강하여 피해가 크지만 곰팡이의 바이러스가 느타리버섯에도 감염될 수 있으므로 병충해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겠다. 특히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세균성 갈변병에 이병 될 경우는 그 피해가 심하므로 세균성 갈변병은 철저히 방지하여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느타리버섯 바이러스병은 식물 바이러스병의 예에서와 같은 매개충이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폐상퇴비나 포자등이 오염되지 않도록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