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식량작물

상세보기
벼멸구
작성자 엄기백 등록일 2001-08-17 00:00:07 조회수 3,832
첨부 #1 벼멸구.pdf


1. 기주 및 분포

벼를 가해하는 지역에서는 벼가기주이고 기타 옥수수, 사탕수수, 피, 바랭이 등도 기주가 되며, 한국, 일본, 필리핀, 말레이지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세아에 분포한다.

2. 생태

벼멸구는 대발생형 해충이며 수년 또는 수십년에 한 번씩 대발생하는 해충으로 최근에는 매년 그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대체로 6월중순부터 7월중순에 걸쳐 장마와 더불어 바다를 건너 우리나라에 날아오며, 장마가 먼저 시작되는 남부지방 및 해안지방에 먼저 발생하게되고 점차 내륙으로 확산된다. 비래시에는 모두가 장시형( 날개가 긴것)이며, 벼에 정착 산란한 후 다음 세대부터는 단시형( 날개가 짧은 것)이 많이 나타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집중 산란 가해한다. 각태 기간은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나 여름에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18 -23일이 걸리며, 성충의 수명은 20 -30일, 난기간은 6-10일로서 엽초 및 잎중늑에다 7-10개정도의 난괴를 형성하여 낳고 한 마리가 보통 300개 내외의 알을 낳으며 비래후 2-3세대를 경과하며, 수확후 겨울을 나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죽게 된다.

3. 피해

주로 벼포기 하부에서 약충, 성충이 직접 볏대를 흡즙하여 가해하므로, 겉에서 발견하기가 어렵다. 8월부터 밀도가 높아지면 출수직후에 피해가 하엽부터 화색으로 되다가 집중적으로 가해한 부분이 약해져서 고사하여 벼포기 중간이 부러지며, 논 군데군데 둥글게 집중 고사현상이 8월하순에서 9월 상순에 일어나고 그것이 확대되면 대면적이 쓰러지므로 임실율이 저하되고 일찍 피해를 입으면 수확 전무상태까지 되는 경우도 있다.

4. 방제법

대체적으로 7월중순까지 비래하는 것이 피해를 주는 원천이 되며, 방제적기는 해에 따라 약간 다르나 일반적으로 비래 27 - 30일 후인 7월하순 - 8월상순이고 이때에 100주당 암컷 단시형이 20마리 전후면 반드시 방제를 하여야 한다. 특히 조기재배하거나 남부해안지방은 타지역보다 5-10일정도 빠르게 방제하는 것이 좋다. 방제약제로는 밧사, 미프신, 세빈, 카보후란 등 카바마이트계 살충제와 부프로훼진계통의 약제가 효과적이다. 기타 경종적인 방제수단으로서 내충성품종(화성벼)를 재배하거나 질소질비료를 과용하지 않도록 한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