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숙조건에 따른 양질미 생산기술 작성자 이 정 일 등록일 2001-08-24 00:00:24 조회수 4,503 |
---|
첨부 #1 양질미 생산기술.pdf |
1. 등숙온도에 따른 미질특성 예로부터 밥맛은 흉작의 해보다 풍작의 해에 생산된 쌀이 좋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는 밥맛에 기상적 요인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주고 특히 등숙온도 조건이 미질특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예상케 한다. 등숙초기에는 20℃이하의 저온에서는 등숙이 지연되어 고온이 적합하지만, 등숙후기가 되면 고온이 필요치 않으며 등숙장해가 없는 한도의 저온에서 동화 물질의 전류축적이 고온에서 보다 오히려 유리하다. 20∼22℃ 정도의 비교적 낮은 저온에서는 초기의 1,000립중 증가는 고온보다 떨어지지만, 후기에는 오히려 높다. 지나친 고온에서는 조직이 빨리 노화하여 등숙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다. 남부 평야지대의 조기재배에서의 등숙은 고온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개화 후 30일 정도에서 성숙되며, 중산간지나 평야지의 만식재배에서는 40∼45일, 저온이 경과되는 한냉지에서는 60일간의 등숙기간이 소요된다. 등숙온도와 쌀의 외관품질 특성과의 관계를 보면 (표 1) 유의성이 인정된 미질 요인은 완전미와 동할미로서 등숙온도가 높으면 동할미는 증가하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으나 등숙온도가 높으면 심복백율은 증가하고 투명도는 떨어진다. 2. 재배시기에 따른 미질특성 미질향상을 위해서는 가능한한 건묘육성이 중요한 기술이며, 약소분얼을 적게하고 안전출수한계기 이전에 출수될 수 있는 품종선택과 비배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안전출수기는 각 지역별로 평년의 기상을 자료로 하여 출수후 40일간의 등숙 기온에 의거해서 산출하는데, 그 예는 (표 4)와 같다. 즉 수원지방의 경우 안전출수기 만한일은 통일형이 8월10일(23℃), 일반형이 8월15일(22℃)이며, 출수기만한일은 통일형이 8월20일(21℃), 일반형이 8월25일(20℃)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안전출수기내에 출수가 될 수 있도록 조식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건묘육성이 필요하다. 3. 시비량 및 방법 질소시비량에 따른 쌀의 품위를 (표 6)에서 보면 질소비료를 증시할수록 완전미율과 투명도가 낮아지며 심복백미와 동할미 비율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태풍 출수초기에 태풍에 의한 해는 매우크다. 출수∼출수직후에 태풍을 맞게되면 이삭전체가 건조하고 백수가 되는 경우가 많다. 등숙과정에 있어서는 출수 후 3∼5일경에 태풍의 피해는 가장 크다. 이삭의 상위의 등숙초기에 있는 벼알은 등숙정지가 되고, 하위의 지경에 있는 벼알은 수정장해를 입는다. 태풍의 피해는 완전미율이 감소하고 각종 불완전미(청미, 다미, 유백미, 기형미, 반사미, 사미, 발육정지미, 불임미 등)가 다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5. 기타 재배관리 등숙 전반에는 이삭이 군락의 상층에 나와 광을 차단하게 되므로 수광능률이 저하한다. 물론 직립형의 품종에서는 그 영향이 경미하다. 또한 엽신의 질소는 급속히 이삭으로 이행하게 되므로 엽신의 질소농도가 저하, 광합성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전기의 알거름은 활동중심엽의 질소농도를 높여 광합성능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뿌리의 기능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 등숙 후반이 되면 군락광합성은 급속히 저하한다. 그 원인은 광합성능력의 저하와 엽면적의 감소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관리를 잘하여 뿌리의 기능을 높게 유지시킴을 전제로 하고, 알거름의 시용으로 잎의 광합성능력을 유지시키는 일이다. 그리고 출수후 광합성의 양부는 등숙비율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한다. 일사량이 풍부하고 도체에 질소함량이 부족하지 않으며, 수광태세가 좋고 뿌리의 기능이 건전할 때 동화량은 증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