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식량작물

상세보기
벼 생육시기별 한발과 수량감소 정도
작성자 황 정 동 등록일 2001-08-24 00:00:19 조회수 5,207
첨부 #1 벼 생육시기별 한발.pdf

1. 머리말

벼는 수생식물은 아니지만 물만 있으면 잘 생육할 수 있는 작물이므로 대부분 다른 작물과는 달리 거의 전 생육기간 담수조건에서 재배한다. 벼에 대한관개수의 역할은 도체가 생리작용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수분공급원이 되고, 또한 벼가 자라는 입지환경을 조절하는 환경수로서 벼 생장조정, 양분의 공급과 흡수 및 지·수온의 조절, 병해충 경감, 잡초발생억제 등의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한발에 따른 벼의 생리적 반응은 토양수분함량에 따라 위조에서 건조사까지 있으며, 그 기작은 벼 생육중 수분이 부족하면 식물체내의 수분이 감소하면서 기공이 폐쇄되어 O2와 CO2의 교환이 억제되어 탄소동화작용이 감소 또는 정지되고 호흡량이 증가되어 생장이 억제되며 뿌리에서는 근모가 파괴되어 흡수력이 떨어져 임실 및 등숙이 불량하게 되어 수량이 저하된다.

2. 시험결과

화남벼를 기계이앙 산파상자에 30일간 육묘하여 6월 8일에 1/5000a Pot에 1주 3본씩 이앙하여 최고분얼기, 유수형성기, 감수분열기, 출수기, 출수후 10일 및 20일에 각각 영구위조직전(토양수분 14.8%)까지 단수처리를 하여 벼 생육특성, 수량 및 쌀 품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 출수기, 불임발생 및 벼 생육특성 영향

출수기는 무한발구가 8월20일 이었으나 최고분얼기, 유수형성기 및 감수분열기 한발처리구는 8월22일∼24일로 무한발구 대비 2∼4일이 지연되었다. 간장은 감수분열기 및 출수기 한발처리구에서 7∼8cm가 짧았으나 그외 시기는 큰 차이가 없었고, 수장은 출수기 이후 한발처리구는 무한발구와 비슷하였으나 출수기 이전 한발처리구는 한발처리시기가 빠를수록 더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임율은 무한발구 14%에 비하여 최고분얼기, 출수후 10일 및 20일 한발처리구는 12.6∼17.5%로 한발처리로 임실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수형성기, 감수분열기, 출수기 한발처리에서는 불임율이 각각 26.0%, 28.9%, 39.9%로 증가하였다(표 1).

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한발처리 시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표 2와 같다. 출수후 10일 및 20일 한발처리구는 무한발구와 주당수수 및 수당입수는 비슷하였으나 천립중은 약간 가볍고 등숙비율은 5∼6% 떨어졌다. 최고분얼기에서 출수기 사이 한발처리구는 주당수수가 17.8∼20.0개로 무한발구 22개 보다 2∼4.2개가 적었고 수당입수는 유수형성기 및 출수기 한발처리구는 비슷하였으나 최고분얼기 및 감수분열기 한발리구는 각각 8개, 16개가 적어 주당 영화수는 무한발구 2520개 보다 249∼775개가 적었는데 주당 영화수 감소는 감수분열기>최고분얼기> 출수기>유수형성기 순으로 컸다. 천립중은 21.5∼22.2g 사이로 무한발구 22.5g보다 약간 가볍웠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등숙비율은 무한발구 77%에 비하여 한발처리구는 48∼65%로 12∼29%가 떨어졌는데 특히 감수분열기 및 출수기 한발처리에서 등숙비율이 낮았다.

3. 미 질

현미 품위는 표 3에서와 같이 무한발구는 완전미 비율이 81.1% 이었으나 한발처리구에서는 청미비율 등이 높아 완전미 비율이 41.3∼71.7%로 떨어졌다. 한발처리 시기간 완전미 비율로 본 현미품위는 출수기>감수분열기>출수후 10일>유수형성기>최고분얼기>출수후 20일 한발처리순으로 떨어졌다. 특히 출수기 및 출수후 10일 한발처리에서는 수미비율이 높았다.

한편 식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쌀의 무기성분중에서 아밀로스와 단백질함량은 처리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Ca, Mg, K 함량 및 Mg/K비는 한발처리구에서 약간 낮았으나 한발처리 시기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표 4).

4. 맺는말

우리나라 연간 총 강우량은 1000∼1500mm인데 이중 유효강우량은 70%정도 이므로 실제 이용 관개수량은 700∼1050mm가 된다. 이 관개수량은 벼 농사에 필요한 년간 용수량 1000∼1200mm 보다 약간 부족한 실정이고 또한 강우분포가 주로 7-8월에 집중되기 때문에 저수시설이 잘되어 있지 않는 지역에서는 한발피해가 가중된다. 60년대 한발이 심한경우 한발피해답이 30만ha나 되었고 빈도도 많았던데 비하여 많이 개선되긴 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수리 안전답 비율은 75% 수준으로 미흡하여 '94년 영호남지역의 한발, '95년 동해안 지역의 극심한 한발피해 등에서 알수 있듯이 안정적 벼 농사를 위해서는 수리시설의 확충은 물론 한발저항성 품종육성 및 벼 재배적 대책 마련을 위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