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농업기술원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 질문한 것에 관하여 답변 드립니다.
1. 임대하신 농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덤불이 우거지고 토지가 평탄화 되지 않았다면 굴삭기 용역을 통해 개간을 먼저 하셔야 합니다.
1-1. 농지대장 등록은 임대차 계약서가 있으면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2. 연계되어 있는 기관은 없으며, 지역마다 위탁을 맡길 수 있는 곳이 상이합니다. 귀농을 하신 경우라면 관할 농업기술센터 방문 후 상담을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위탁업체를 알아보시는 경우라면 소재지 리사무소를 방문하시어 영농회장님 등 지역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3. 농지로 이용됐던 곳이라면 굳이 개간하실 필요는 없으며, 트랙터를 이용한 로터리 작업만으로도 충분히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자세한 사항은 토지 상황을 봐야 알 수 있습니다. 이 부분도 소재지 관할 농업기술센터를 방문하시거나 전화상담을 추천드립니다.
4. 마찬가지로 농업기술센터에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가져가시면 분석이 되며, 분석기간은 1개월 정도 소요됩니다.
5. 무는 봄재배 작형부터 월동재배 작형까지 다양합니다. 대부분 월동재배를 하며 주 파종기는 8월 하순~10월 상순 경입니다. 봄재배인 경우 3월 중순~4월 하순이나 터널재배를 하는 경우 2월 하순~3월 상순에도 가능합니다.
5-1. 1월에 정식 또는 파종하는 경우는 드물며, 보통 봄재배인 경우 2월 중하순부터 가능하며, 단호박, 초당옥수수, 무, 배추, 브로콜리 등 다양한 작물이 가능하지만 작물에 따라 터널재배 등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또한 지역 기상과 토양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담을 통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6. 단순 재배는 이론상으로 가능하겠지만, 기상여건 등에 따라 주기적인 확인 및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기상 재해 또는 병해충 방제 적기를 놓칠 경우 등 여러가지 상황이 있기 때문에 요청하신 작물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7. 온라인 강의는 농사로, 농업교육포털 등에서 수강하실 수 있으나 제주지역과는 재배기술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는 동서남북 각각 기후 및 토양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서귀포시라고 할 지라도 재배하는 작목이 다양합니다.
따라서 저희 농업기술원 또는 농장 소재지 관할 농업기술센터를 방문하시어 자세한 상담을 먼저 받으시는 것이 우선입니다.
이외에도 상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기술지원조정과 기술지원팀(760-7531~3)이나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를 방문하여 대면상담을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