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영농상담

과실크기 게시물 상세보기
과실크기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과실크기
작성자 문ㅇㅇ 작성일 2025-06-29 21:08:39
조회 180 회 상태 완료
담당부서
  • 농업기술원>연구개발국>과수연구과

1.  비가림 유라실생입니다.(6년생) 이번 수확이 2번째라서 현 시점(6월 말, 7월 초)의 과실크기가 어느 정도되어야 정상인지 알고 싶습니다.

  - 예를 들어 40mm 이상되어야 할까요?

2. 만약 현재 시점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 어떤 조치를 하여야 할까요?

  - 관수는 일주일에 한번 푹 주고 있고,

  - 비료는 5월 중순과 6월 하순에 비료(복비, 슈퍼원예) 시비하였습니다.

  - 적과는 5월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 유라 상단부 위주로 적과를 하였습니다. 현재는 부분 적과 중이고 매달기 중입니다.

3. 만약 크기가 정상이라면, 7월, 8월, 9월 하여야 할 일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 여름순이 나오는 7~8월경에는 귤이 크지 않는다고 합니다만...

  - 작년에는 여름전정도 했었는데, 기술센터에서는 여름 전정에 대하여 크게 신경쓰지 말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패스할려고 합니다.

4. 5월 하순부터 적과를 하다보니, 지금 일부 순들이 나오고 있고 귤굴나방 등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7월 상순까지 6월에 나온 순을 봄순 밑으로 잘라서

   새로 여름순을 받을까요?

5. 제 계획으로는 9월 중순에 수확할 예정인데, 작년에 생각만큼의 당도가 나오지 않았습니다.(재배지역은 서부지역임)

  - 당도와 색깔을 낼려면 7월부터 지속적으로 칼슘제를 사용할까요?

  - 별도의 감귤액비와 기술센터의 미생물을 정기적으로 관수하고 있습니다만... 감귤액비 등이 당도 향상에 도움이 될까요?

6. 마지막으로 9월 중하순 수확 후, 수세 회복을 위해 요소와 관수를 하려고 하는데, 물과 비료 성분이 과다하면 가을 순이 와서 내년에 꽃이 오지

   않는다고 교육자료에서 본 것 같습니다. 수확 후 관리요령(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이미 처리가 시작되었으므로 수정/삭제 하실 수 없습니다.
과실크기 게시물의 답변 목록
작성자 과수연구과 답변일 2025-07-01
담당부서 연락처 064-760-7261

저희 농업기술원 홈페이지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과실크기(횡경)는 착과량, 과원 관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온주밀감 비가림의 경우 가온재배와 달리 시기별로 조사된 과실 크기 자료는 없으나, 자체 조사 시(유라실생) 8월 상순 기준 48~52mm 정도로 조사되었습니다.

2. 올해는 감귤 만개기가 전년 및 평년보다 8~9일 늦고, 5~6월 평균 기온 또한 낮아 과실 비대 시기가 전반적으로 늦어질 수 있습니다. 수확기까지 적산온도가 확보된다면 과실 비대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여름 순이 굳기 전까지는 양분 경합으로 과실 비대가 다소 더딜 수는 있지만 온주밀감의 경우 큰 과실을 생산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여름 전정의 목적은 예비지 확보를 하는데 주 목적이 있기 때문에 여름 순 착과가 아니면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4. 귤굴나방 피해가 크다면 여름 순을 잘라서 새로 받아도 괜찮습니다. 지금 자르면 가을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7월 중~하순 정도에 하시는게 좋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을순이 발생하지 않고 여름 순이 다 굳게 되면 내년 착과 또는 예비지 설정을 선택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5. 전년도는 여름철 고온 등으로 온주밀감, 만감류 전반적으로 당도가 오르지 않는 해였습니다. 칼슘제는 착색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당도를 올릴려고 하면 단수가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주기적인 품질관리를 통해서 관수량을 조절 하시는게 도움이 될꺼 같습니다. 감귤 액비는 질소질 성분이 많아 당도 상승에 큰 영향을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칼슘제의 경우 과실비대기는 수용성 칼슘제, 착색기는 불용성 칼슘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극조생 감귤의 경우 엽면시비는 수확 후 바로 하시면 되고, 비료는 가을 순이 발생하지 않는 10월 하순 경에 살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농업기술원 과수연구과 감귤연구팀(760-7411~5)으로 연락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평가 하기

로그인 후 답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