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영농상담

탐나감자-중만생종 게시물 상세보기
탐나감자-중만생종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탐나감자-중만생종
작성자 고ㅇㅇ 작성일 2025-06-17 05:29:34
조회 77 회 상태 완료
담당부서
  • 농업기술원>연구개발국>원예작물과

안녕하세요 월령모살밭에서 탐나를 키우고 있습니다

1.탐나특징을 공부하다보면 중만생종이라고 쓰였는데요 하엽의 상태 쓰러짐 정도 를 보고 수확할까요? 아님 100여일 전후 또는 개화 후 30여일 전후로 할까요?

2.탐나의 식미가 좋다라고 되어있는데 어떤 식미를 말하는 것일까요? 저희 감자는 좀 쫀득거려서요 숙기가 감자의 질감식미에 영향을 미칠까요? 하엽3~4장이 누렇게 되었고 파종97일차입니다 

3.탐나의 영양적인 부분은 다른 감자와 비교시 어떨까요? 

4.탐나시험구재배의 토양은 어땠나요? 모래밭에서의 재배를 하셨다면 그 특징은 또 뭘까요? 모래밭이 아닌 다른 토양에서 시험구를 하셨다면.....

5.모살밭에 탐나(원종장신청)와 대지(얻어온것이라 확실히 잘 모르겠으나 확인 가능)가 있는데 두 감자의 영양성분이나 특징등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긴글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이미 처리가 시작되었으므로 수정/삭제 하실 수 없습니다.
탐나감자-중만생종 게시물의 답변 목록
작성자 원예작물과 답변일 2025-06-23
담당부서 연락처 064-760-7473

저희 농업기술원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 질문한 것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1. 탐나 품종은 중만생종으로 수확시기는 파종일 기준 110일 전 후이며, 하엽이 노랗게 변하고 줄기가 누워있으면 수확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3번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는 탐나는 기존 제주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대지품종보다 전분함량이 높아 맛이 포슬포슬하다는 평가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제주농업기술원에서는 사질토(모래밭)에서 감자 시험재배를 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사질토에서 감자를 재배하면 배수와 통기성은 양호하지만 수분과 영양분 보유력이 부족한 단점이 있고, 점질토는 영양분이 풍부하지만 배수가 어려워 뿌리가 과도한 수분에 노출되어 습해 피해에 취약한 단점이 있습니다.다. 그러므로 재배지 토양에 따라 포장 관리가 필요하므로 배수로 정비 등 재배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 탐나품종은 대지품종보다 육안상으로 개화량이 많고 줄기길이(경장)이 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상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원예작물과 식량작물연구팀(064-760-7473)으로 연락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답변 평가 하기

로그인 후 답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