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동부농업기술센터 서부농업기술센터 정보관

식량작물

상세보기
수도 무논 골뿌림 직파재배 기술
작성자 김병호 등록일 2001-08-25 00:00:19 조회수 5,154
첨부 #1 직파재배 기술00.pdf


1.재배 적지

○표고(중북부 100m, 남부 200m)이하 지역이며 경사도 7%이하지역 2모작, 한해상습지, 염농도 0.25% 이상인 간척지는 제외

2.토성:식질 토양의 배수 약간 불량 및 불량지, 미사 식질 양질의 배수 약간 불 및 불량지

3.적응품종

○ 저온발아성, 초기 신장성이 좋은 단간 내도복 양질 품종
○ 조생종:소백,오대,운봉,금오,신운봉벼
○ 중생종:화성,화영,간척벼
○ 중만생종:동진,탐진,계화,대야,영산,금남,일미,화남,동안,대산벼

4.파종시기

○ 조생종: 5.1∼6.5, 중생종: 5.1∼5.30, 중만생종: 5.1∼5.25
○ 일평균기온이 11∼12℃ 이상이 되면 파종 가능하나 만파 지양하고 파종적기준수

5.파종량:3∼5kg/10a(적정입모수 : 80∼120개/㎡)
※ ㎡당 60개 이하시 재파종 검토(단, 균일시는 제외)

6.본논경운 정지 및 논굳히기

○ 가을갈이 또는 봄갈이 실시 : 석회, 규산질 비료 시용으로 볏짚 부숙 촉진
○ 논고르기 : 관내 또는 경운전에 높은 곳에서 흙을 골솎음하여 낮은 곳으로 옮김.
◎ 지나친 심경은 피하고 12cm정도로 얕게 경운하거나 로타리만 실시
◎ 지나친 논고르기 작업(로타리)은 입모불량함.
-사질양토 : 써레질후 배수 - 논굳힘(1∼2일) - 일시관수 - 파종
-점질양토 : 써레질 3∼4일후 배수 - 논굳힘(5∼6일) - 일시관수 - 파종
○ 건답상태 로타리 - 2∼3일간 담수 - 2∼3일간 낙수 - 파종
◎ 논굳히기 미흡한 논은 논굳힘 정도에 따라 물대는 시기 조절

7.파종 방법

● 까락제거,소금물가리기,종자소독 실시
○ 싹틔우기:1∼2mm정도(싹이 너무 길면 모썩음병 발생증가)
- 싹틔우는 기계이용시 반드시 2일이상 침종후 실시로 입모율 향상
● 파종골 깊이 : 3∼4cm 깊이로 파종깊이 조절 파종

목록으로

제주도내기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인재개발원 보건환경연구원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제주소방서 서귀포소방서 서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자치경찰단 상하수도본부 문화예술진흥원 민속자연사박물관 한라산국립공원 축산진흥원 해양수산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 서울본부 공공도서관 제주도립미술관 설문대여성문화센터 제주돌문화공원 영어교육도시지원사무소 제주고용센터 세계유산본부 감사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농촌진흥기관
농촌진흥청 경기도 농업기술원 강원도 농업기술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제주지방경찰청 제주지방병무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도교육청 제주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도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제주에너지공사 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도 경제통상진흥원 제주컨벤션뷰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테크노파크 도관광협회 감귤출하연합회 도체육회 제주연구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통계사무소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4.3평화재단 국제평화재단 탐라영재관 아이낳기운동본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제주여성가족연구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련사이트